-
[1] 퇴근 후 1시간 투자로 두 번째 월급 만들기 2
-
1
-
2
-
3
-
4
-
5
-
-
안 하면 손해! 꼭 진행 하고 넘어가세요! 보너스 챕터! 2
-
[2] 아마존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단계 5
-
[3] 아마존을 읽을 줄 알면, 돈되는 제품이 보인다! 8
-
[4] 제조업체를 찾고 샘플을 받기까지 5
-
[5] 팔기로 정한 첫 '제품' 매력적인 '상품'으로 둔갑시키기 1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6] 미국 소비자에게 신뢰를 얻는 방법 3
-
[7] 아마존에 상품 등록 하기 9
-
[8] 이제 본격적으로 상품을 잘 팔아보자! 11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
[9] 상품을 더욱 더 잘 팔게 도와주는 Tool 5
-
[10] 상품 판매 그 후... 이제는 '브랜드'를 성장시키자 4
-
[LIVE] 민병은의 ON AIR 아마존 셀링 - 유튜브 라이브 4
- 제 1 조 [목적]
본 약관은 두번째 월급을 운영하는 회사 그레이웨일(이하 “회사”라 한다)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관련 서비스(이하 ‘서비스’라 하며, 접속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이용 가능한 사이트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의미합니다.)를 이용함에 있어 회원의 권리•의무 및 책임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 제 2 조 [용어의 정의]
1. “서비스” 란 “회사”가 상품을 회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 등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상품 등을 거래할 수 있도록 설정한 가상의 영업장을 말하며, 사이버몰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의미로도 사용합니다. 현재 “회사”가 운영하는 “서비스”는 https://www.secondjob.kr 이며, 더불어 서비스 하는 안드로이드, iOS 환경의 모바일웹과 앱을 포함 합니다.
2. “이용자”란 “서비스”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3. “회원”이란 “회사”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본 약관에 따라 “회사”와 이용계약을 체결하고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을 말합니다.
4. “이용계약”이란 이 약관을 포함하여 “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회사”와 “회원” 간에 체결하는 모든 계약을 말합니다.
5. “계약해지”란 “회사” 또는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6. 본 약관에서 정의되지 않은 용어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르며, 그 외에는 일반적인 상관례에 의합니다. - 제 3 조 [약관 효력 및 변경]
1. “회사”는 이 약관의 내용과 상호, 영업소 소재지, 대표자의 성명, 사업자등록번호, 연락처(전화, 팩스, 이메일 주소 등) 등을 이용자가 알 수 있도록 “서비스”의 초기화면에 게시합니다. 다만, 약관의 구체적 내용은 회원이 연결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습니다.
2. “회사”는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기본법」, 「전자금융거래법」, 「전자서명법」,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소비자기본법」 등 관련법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전 고지 없이 이 약관을 개정할 수 있습니다.
3. “회사”가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는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개정될 내용 중 중요사항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서비스”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이용자에게 불리하거나 중대한 사항의 변경은 30일) 이전부터 적용일 후 7일 동안 공지합니다.
4. “회원”이 변경된 약관의 효력발생일 이후에도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경우, 약관의 변경사항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5. “회원”이 개정약관의 적용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사표시를 명시적으로 한 경우 “회사”는 개정약관의 내용을 적용할 수 없으며, 이 경우 “회원”은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단, 기존 약관을 적용할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회사”도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 제 4 조 [약관 외 준칙]
이 약관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과 이 약관의 해석에 관하여는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등 관련법령의 규정과 일반 상관례에 따릅니다. -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이용계약은 회원이 되고자 하는 자(이하 ‘가입신청자’)가 약관의 내용에 동의를 하고, “회사”가 정한 가입양식에 따라 회원정보(전자우편주소, 비밀번호, or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회원가입 정보 등)를 기입하여 회원가입신청을 하고 “회사”가 이러한 신청에 대하여 승인함으로써 체결됩니다.
2. “회사”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신청에 대하여는 승낙을 하지 않거나 사후에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a. ‘가입신청자’가 이 약관에 의하여 이전에 회원자격을 상실한 적이 있는 경우. 다만, 회원자격 상실 후 3개월이 경과한 자로서 “회사”의 회원 재가입 승낙을 얻은 경우에는 예외로 함
b. 실명이 아니거나 타인의 명의를 이용한 경우
c. 등록내용에 허위의 정보를 기재하거나, 기재누락, 오기가 있는 경우
d. 14세 미만 아동이 법정대리인(부모 등)의 동의를 얻지 아니한 경우
e. 이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승인이 불가능하거나 기타 규정한 제반 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f. 부정한 용도 또는 영리를 추구할 목적으로 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g. 회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승인이 불가능하거나 기타 규정한 제반 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h. 기타 이 약관에 위배되거나 위법 또는 부당한 이용신청임이 확인된 경우 및 “회사”가 합리적인 판단에 의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3. 제1항에 따른 신청에 있어 “회사”는 “회원”의 종류에 따라 전문기관을 통한 실명확인 및 본인인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4. “회사”는 “서비스” 관련설비의 여유가 없거나, 기술상 또는 업무상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5. 제 2항과 제 4항에 따라 회원가입신청의 승낙을 하지 아니하거나 유보한 경우, “회사”는 원칙적으로 이를 가입신청자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6. 이용계약의 성립 시기는 “회사”가 가입 완료를 신청절차 상에서 표시한 시점으로 합니다.
7. “회사”는 회원에 대해 “회사”정책에 따라 등급별로 구분하여 이용시간, 이용횟수, ‘서비스’ 메뉴 등을 세분하여 이용에 차등을 둘 수 있습니다.
8. “회사”는 “회원”의 편의를 위해 “회원”의 사용 정보를 포괄적으로 저장하며, 사용정보에 따라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제 6 조 [개인정보의 입력 및 변경]
1. “회원”은 가입 시에 안내에 따라 실명과 이메일 주소를 사실대로 기록하여야 합니다. 실명과 이메일 주소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서비스 이용이나 소비자로서 권리행사가 제한됩니다.
2. “회원”은 개인정보관리화면을 통하여 언제든지 본인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서비스 관리를 위해 필요한 이메일 주소, 실명 등은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 제 7 조 [개인정보보호 의무]
1. “회사”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서 정하는 바를 준수합니다.
2. “회사”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개인정보취급방침을 제정, “서비스” 초기화면에 게시합니다. 다만, 개인정보취급방침의 구체적 내용은 연결화면을 통하여 볼 수 있습니다.
3. “회사”는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따라 회원의 개인정보를 최대한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합니다.
4. “회사”의 공식 “서비스” 이외의 링크된 사이트에서는 “회사”의 개인정보취급방침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링크된 사이트 및 상품 등을 제공하는 제3자의 개인정보 취급과 관련하여는 해당 사이트 및 제3자의 개인정보취급방침을 확인할 책임이 회원에게 있으며, “회사”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않습니다.
5. “회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회원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a. 수사기관이나 기타 정부기관으로부터 정보제공을 요청 받은 경우
b. 회원의 법령 또는 약관의 위반을 포함하여 부정행위확인 등의 정보보호업무를 위해 필요한 경우
c. 기타 법률에 의해 요구되는 경우
d. 판매자 또는 배송업체 등에게 거래 및 배송 등에 필요한 최소한의 회원의 정보(성명, 주소,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경우
e. 구매가 성사된 때에 그 이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와 구매가 종료된 이후에도 반품, 교환, 환불, 취소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 제 8 조 [이용계약의 종료]
1. 회원의 해지
a. 회원은 언제든지 “회사”에게 해지의사를 통지함으로써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b. 이용계약은 회원의 해지의사가 “회사”에 도달한 때에 종료됩니다.
c. 본 항에 따라 해지를 한 회원은 이 약관이 정하는 회원가입절차와 관련조항에 따라 회원으로 다시 가입할 수 있습니다.
2. 회사의 해지
a. “회사”는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는 경우,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회사”는 회원에게 전자우편주소, 전화 등 기타의 방법을 통하여 해지사유를 밝혀 해지의사를 통지합니다. 다만 “회사”는 해당 회원에게 사전에 해지사유에 대한 의견진술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① 제5조 제2항에서 정하고 있는 이용계약의 승낙거부사유가 있음이 확인된 경우
② “회원”이 “회사”나 다른 회원 기타 타인의 권리나 명예, 신용 기타 정당한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한 경우
③ 기타 회원이 이 약관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거나 이 약관에서 정한 해지사유가 발생한 경우
b. 이용계약은 “회사”가 해지의사를 회원에게 통지함으로써 종료됩니다. 이 경우 “회사”는 해지의사를 회원이 등록한 전자우편주소로 발송하거나 “회사”의 게시판에 게시함으로써 통지에 갈음합니다.
c. 이용계약이 종료되는 경우 회원의 적립금 및 쿠폰은 소멸되며, 환불 등의 처리에 관하여는 “회사”의 환불규정에 의합니다.
d. 이용계약의 종료와 관련하여 발생한 손해는 이용계약이 종료된 해당 회원이 책임을 부담하고 “회사”는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제 9 조 [회원탈퇴 및 자격 상실]
1. 회원은 “회사”에 언제든지 탈퇴를 요청할 수 있으며 “회사”는 회원탈퇴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를 처리합니다.
2. 회원이 다음 각 호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회사”는 회원자격을 제한 및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a. 다른 사람의 “서비스” 이용을 방해하거나 그 정보를 도용하는 등 전자상거래질서를 위협하는 경우
b. “서비스”를 이용하여 법령과 이 약관이 금지하거나 공서양속에 반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c. 기타 다음과 같은 행위 등으로 “서비스”의 건전한 운영을 해하거나 “서비스”의 업무를 방해하는 경우
① “서비스”의 운영과 관련하여 근거 없는 사실 또는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거나 유포하여 “회사”의 명예를 실추시키거나 “서비스”의 신뢰성을 해하는 경우
② “서비스”의 이용과정에서 직원에게 폭언, 협박 또는 음란한 언행 등으로 “서비스”의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③ “서비스”를 통해 상품 등을 구매한 후 정당한 이유 없이 상습 또는 반복적으로 취소∙반품하여 “회사”의 업무를 방해하는 경우
④ “서비스”를 통해 구입한 상품 등에 특별한 하자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일부 사용 후 상습적인 취소∙전부 또는 일부 반품 등으로 “회사”의 업무를 방해하는 경우
3. “회사”가 회원자격을 제한∙정지시킨 후 동일한 행위가 2회 이상 반복되거나 30일 이내에 그 사유가 시정되지 아니하는 경우 “회사”는 회원자격을 상실시킬 수 있습니다.
4. 재판매의 목적으로 “서비스”에서 ‘상품 등’을 중복 구매하는 등 “서비스”의 거래질서를 방해하는 경우 “회사”는 당해 회원의 회원자격을 상실시킬 수 있습니다.
5. “회사”가 회원자격을 상실시키는 경우에는 회원등록을 말소합니다. 이 경우 회원에게 이를 제8조 제2항 (나)목에 따라 통지하고, 회원등록 말소 전에 소명할 기회를 부여합니다. - 제 10 조 [회원의 정보관리 의무]
1. “회원”의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관리할 책임은 “회원”에게 있으며, 이를 제 3자가 이용하도록 하여서는 안 됩니다.
2. “회사”는 “회원”의 이메일 주소가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있거나, 반사회적 또는 미풍양속에 어긋나거나 회사 및 서비스의 운영자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경우, 해당 이메일 주소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회원”은 이메일 주소 및 비밀번호가 도용되거나 제3자가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한 경우에는 이를 즉시 회사에 통지하고 “회사”의 안내에 따라야 합니다.
4. 제3항의 경우에 해당 회원이 “회사”에 그 사실을 통지하지 않거나, 통지한 경우에도 “회사”의 안내에 따르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회사”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제 11 조 [회원에 대한 정보제공 및 통지]
1. “회사”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각종 정보를 이메일이나 우편, SMS, 전화 등의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회사”가 “회원”에게 의사표시 기타 통지를 하는 경우 이 약관에 별도 규정이 없는 한 서비스 내 알림, 이메일, 서비스 내 쪽지 등으로 할 수 있습니다. 단, 회원정보에 기입된 이메일 주소 또는 이동전화번호를 항상 정확한 정보로 유지하는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3. “회사”는 불특정다수 “회원”에 대한 통지의 경우 1주일 이상 “서비스”에 게시함으로써 개별 통지에 갈음할 수 있습니다.
4. “회사”는 서비스 개선 및 “회원” 대상의 서비스 소개 홍보 등의 목적으로 “회원”의 동의 하에 관련 법령에 따라 추가적인 개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 제 12 조 [회사의 의무]
1. “회사”는 관련법령과 이 약관이 금지하거나 미풍양속에 반하는 행위를 하지 않으며, 이 약관이정하는 바에 따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여야 합니다.
2. “회사”는 “회원”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회원의 개인정보(신용정보 포함)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며 개인정보취급방침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3. “회사”는 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회원”으로부터 제기된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이를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 제 13 조 [회원의 의무]
1. “회원”은 본 약관의 규정, 관련법령, 운영원칙 및 회사가 고지하는 사항을 준수하여야 하며, 기타 회사 업무에 방해되는 행위를 해서는 안됩니다.
2. “회원”은 “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안됩니다.
가. “서비스” 신청 또는 변경 시 허위내용의 등록
나. 타인의 정보도용
다. “회사”가 게시한 정보의 허가 받지 않은 변경
라. “회사”가 정한 정보 이외의 정보(컴퓨터 프로그램 등) 등의 송신 또는 게시
마. “회사”와 기타 제3자의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에 대한 침해
바. “회사” 및 기타 제3자에 대한 비방, 명예 훼손, 개인정보 침해, 업무방해 등 기타 피해를 야기하는 행위
사. 다른 이용자를 희롱 또는 위협하거나, 특정 이용자에게 지속적으로 고통 또는 불편을 주는 행위
아. “서비스”의 운영에 지장을 주거나 줄 우려가 있는 일체의 행위
자. 서비스의 목적에 벗어나 영리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는 행위
타. 기타 관계법령이나 “회사”에서 정한 규정에 위배되는 행위
파. 강의 등을 통해 제시되는 상품 등에 대하여 적법한 권리자의 승인 없이 모방하는 등의 행위. 부정경쟁방지법 위반으로 금지되어 있으므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회사는 소비자의 이와 같은 침해행위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제 14 조 [회원의 게시물]
1. 게시물은 “회원”이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게시한 글, 사진, 각종 파일과 링크, 디지털 콘텐츠 등을 말합니다.
2. “회원”이 서비스에 등록하는 게시물 등으로 인하여 본인 또는 타인에게 손해나 기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회원”은 이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지며, 회사는 이에 대하여 어떤 경우에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3. 회사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게시물 등을 회원의 사전 동의 없이 임시 게시중단, 수정, 삭제, 이동 또는 등록 거부 등의 관련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a. 다른 회원 또는 제 3자에게 심한 모욕을 주거나 명예를 손상시키는 내용인 경우
b.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하는 경우
c. 불법복제 또는 해킹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d.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일 경우
e. 범죄와 결부된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내용일 경우
f.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인 경우
g. 사적인 정치적 판단이나 종교적 견해의 내용으로 회사가 서비스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h. 회사에서 규정한 게시물 원칙에 어긋나거나, 게시판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i. 게시물이 내용의 질 뿐만 아니라 화질 등에 있어 회사가 정한 규정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j.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회사”는 게시물 등에 대하여 제3자로부터 명예훼손, 지적재산권 등의 권리 침해를 이유로 게시중단 요청을 받은 경우 이를 임시로 게시를 중단 할 수 있으며, 이의를 제기한 자와 게시물 등록자 간에 소송, 합의 등을 통해 당해 게시물에 관한 법적 문제가 종결된 후 이를 근거로 회사에 신청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임시로 게시가 중단된 게시물은 다시 게시될 수 있습니다.
5. “회원”이 이용계약해지를 한 경우 “회원”이 등록한 게시물은 자동 삭제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일부만 익명화 처리됩니다. “회원”은 이용계약 해지 전에 자신의 등록한 게시물을 언제든 직접 삭제할 수 있으며, 이용계약 해지 이후에도 “회사”에 그 삭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제 15 조 [회원에 대한 통지]
1. “회사”가 회원에 대한 통지를 하는 경우, 회원이 가입신청 시 “회사”에 제출한 전자우편주소나 SMS, PUSH 등으로 할 수 있습니다.
2. “회사”는 불특정다수 회원에 대한 통지의 경우, 1주일 이상 “서비스”에 게시함으로써 개별 통지에 갈음할 수 있습니다. 다만, 회원 본인의 거래에 관하여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는 개별 통지합니다. - 제 16 조 [서비스의 제공]
1. “회사”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 동영상 강좌 제공 서비스
b. 다양한 교육 관련 서비스
c. 기타 “회사”가 개발하거나 다른 회사와의 제휴계약 등을 통해 회원에게 제공하는 일체의 서비스
2. “서비스” 이용은 “회사”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3. “서비스”를 구성하고 있는 제3자에게 기술적 문제나 운영상 문제 등이 발생하면 “서비스”는 언제든 중단 될 수 있으며 “회사”는 이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4. “회사”의 명백한 책임으로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중단된 시간이 6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회사”는 유료사용자에 대하여 중단된 시간만큼 추가이용시간을 지급합니다.
5. “회사”는 서비스의 업데이트, 정기점검 등으로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비스 내에서 사전고지 합니다.
6. “회사”는 일부 서비스의 이용 가능 시간을 별도로 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서비스 이용안내를 통해 공지합니다.
7. 서비스의 구조, 인터페이스, 디자인, 경험 등은 회사의 정책에 따라 상시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유료 서비스를 지불한 회원의 사용목적을 침해하지 않은 이상 “회사”는 위 변경에 대해 별도의 보상, 환불 등을 하지 않습니다. - 제 17 조 [유료 서비스 거래 규정]
1. 별도로 표시된 유료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는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2. 유료 서비스의 이용 요금 및 결제 방식은 해당 서비스에 명시되어 있는 규정에 따릅니다.
3. “회원”이 유료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완료한 때 유료 서비스 이용 계약이 성립된 것으로 봅니다.
4. 유료 서비스는 각각마다 제공기간이 정해집니다.
5. “회사”는 “회원”이 일정 금액을 지불하는 경우 제공기간을 연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제 18 조 [유료 서비스 환불 규정]
1. “회사”는 서비스 대금의 환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환불규정을 적용합니다.
a. 회사의 서비스 정지, 자진폐업, 등록말소 등의 경우 이미 납부한 서비스 대금 등을 일할 계산한 금액을 반환합니다.
b. 외부 사이트(와디즈 등)를 통해 결제/구매하신 경우, 구매하신 판매 사이트의 환불 규정 등을 통한 별도의 수강 취소, 변경 및 환불규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c. 회원이 본인의 의사로 서비스 이용을 포기한 경우 서비스 시작 전에 한하여 납부한 서비스 대금의 전액을 환불합니다.
d. 서비스 시작 후 개인적인 이유로 서비스 이용을 포기한 경우
– 수강 시작일은 학습을 시작한 시점 부터 계산됩니다.
- 수강권은 평생교육법 환불 규정에 따라 아래와 같이 환불이 가능합니다.
◦ 반환 사유 발생일 수강시작 전 : 이미 낸 학습비 전액 반환
◦ 반환 사유 발생일 총 수강기간의 1/3 경과 전 : 이미 낸 학습비의 2/3에 해당하는 금액
◦ 반환 사유 발생일 총 수강기간의 1/2 경과 전 : 이미 낸 학습비의 1/2에 해당하는 금액
◦ 반환 사유 발생일 총 수강기간의 1/2 경과 후 : 반환하지 않음
- 모든 강의는 강의의 길이에 관계없이 1개의 강의로 취급합니다.
- 강의 재생 시간에 관계없이 강의를 클릭하거나 수업 노트를 열람한 경우도 수강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수강권의 수강기간은 일시정지 할 수 없습니다.
- 수업 자료를 열람 혹은 다운로드한 경우 해당 강의에 대해 전체 수강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이외 학습을 진행한 상황이 확인되면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2. 수강권에 클래스 강사의 피드백(코칭권)이 결합된 서비스의 경우 제 1항에서 산정한 각 반환금액에서 정가 기준 이용한 강사 피드백(코칭권)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반환합니다. 수강권에 강사 피드백(코칭권) 이외에 타 서비스가 결합된 서비스의 경우 별도의 환불기준이 적용될 수 있으며 “회사”는 이 경우 웹사이트에 관련사항을 고지합니다.
3. 기간이 지정된 유료 서비스의 제공 기간이 만료되었을 경우에는 환불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4. 소모성, 일회성 유료 서비스는 환불이 되지 않습니다.
5. “회원”이 할인에 의해 서비스 대금을 결제하였을 경우, 서비스 대금 반환금액의 기준은 할인이 적용되어 실제 결제한 금액에 의하여 정합니다.
6. 환불은 신용카드 결제, 휴대폰 결제, 계좌이체 등 “회원”이 결제한 수단과 동일한 방식으로 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경우에는 “회사”는 “회원”에게 합리적인 환불방법을 정하여 통지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해당 방법에 협조하지 않아 발생하는 환불의 지연 등에 관한 모든 불이익의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7. “회원”은 다음 각 호에 나와있는 방법을 통해 “회사”에 환불 의사를 표시하여야 하며, “회사”는 환불 요청을 접수하고 “회원”의 요청과 환불 규정 확인 후 5일 이내에 환불 과정을 진행합니다. 다만 결제대행사, 카드사 등에서의 결제 취소 시간 및 금융사의 전산마비 등 “회사”의 책임영역 외의 사유로 인한 환불 지연에 대해서는 “회사”가 책임지지 않습니다.
a. “회원”은 서비스를 카드로 결제한 경우, 서비스 시작 전 환불 요청 시에는 두번째 월급 웹 사이트에 마련된 ‘결제 취소’ 창구를 통해, 서비스 시작 후 환불 요청시에는 secondjob@graywhale.co.kr로 환불 요청 의사를 표시하고 환불 절차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해야 합니다.
b. “회원”은 서비스를 계좌이체를 통해 결제한 경우 secondjob@graywhale.co.kr로 환불 요청의사를 표시하고 환불 절차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해야 합니다.
8. 이벤트성, 비정규적, 특별기획 서비스 등의 경우 별도의 수강 취소, 변경 및 환불규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이 경우 웹사이트에 관련사항을 고지합니다.
9. 회원정보(이메일 주소, 실명 등)가 부정확하여 발생하는 환불의 지연 등의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10. “회사”의 환불 예외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a. “회원”이 관계법령 및 본 약관의 규정을 위반하여 “회사”로부터 강제탈퇴 처리가 되는 경우에는 본 조의 환불규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b. 부정이용이 확인 된 구매 건에 대해서는 이유와 관계없이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c. “회사”가 “회원”에게 무료로 지급한 포인트나 쿠폰 등으로 인해 “회원”이 획득하게 된 금액에 대해서는 환불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1. 본 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신뢰도 제고나 이벤트를 위해 일시적으로 환불 조건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제 19 조 [과오금]
1. ”회사”는 과오금이 발생한 경우 이용대금의 결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과오금 전액을 환불하여야 합니다. 다만, 동일한 방법으로 환불이 불가능할 때는 이를 사전에 고지합니다.
2. ”회사”의 책임 있는 사유로 과오금이 발생한 경우 “회사”는 계약비용, 수수료 등에 관계없이 과오금 전액을 환불합니다. 다만, “회원”의 책임 있는 사유로 과오금이 발생한 경우, “회사”가 과오금을 환불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회원”이 부담하여야 하며, 이는 반환되는 과오금에서 공제될 수 있습니다.
3. “회사”는 “회원”이 주장하는 과오금에 대해 환불을 거부할 경우에 정당하게 이용대금이 부과되었음을 입증할 책임을 집니다. - 제 20 조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
1. “회사”가 작성한 게시물 또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기타 지적재산권은 “회사”에 귀속합니다.
2. “회원”이 서비스 내에 게시한 게시물의 저작권은 원칙적으로 게시한 “회원”에게 귀속됩니다. 단, “회사”는 서비스의 운영, 전시, 전송, 배포, 홍보 등의 목적으로 “회원”의 별도의 허락 없이 무상으로 “회원”이 등록한 게시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회원”이 올린 디지털 콘텐츠가 “회원”의 동의 없이 타인에 의해 무단, 불법 복제되어 “회원”뿐 아니라 “회사”의 이익에 상충할 경우 “회사”는 “회원”을 대리해 지적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 “회사”는 “회원”에게 개별적으로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4. “회사”는 본 조 제 2항 이외의 목적으로 “회원”의 게시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회원”의 동의를 얻어 사용합니다. - 제 21 조 [광고]
1. “회원”은 “서비스” 이용 시 노출되는 광고게재에 대해 동의합니다.
2. “회사”는 서비스상에 게재되어 있거나 서비스를 통한 광고주의 판촉활동에 “회원”이 참여하거나 교신 또는 거래를 함으로써 발생하는 손실과 손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제 22 조 [회원 탈퇴 및 자격상실]
1. “회원”은 언제든지 서비스 내 문의 기능을 통하여 이용계약 해지(탈퇴) 신청을 할 수 있으며, 회사는 관련법 등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2. “회원”이 “회사”로부터 제23조에 따른 이용제한의 일환으로 영구이용정지 통보를 받거나 사망한 경우 해당 회원은 그 자격을 상실하며, 회사와의 모든 이용계약은 해지됩니다.
3. 제1항에 의한 회원탈퇴 또는 제2항에 의한 회원자격상실 및 이용계약해지가 확정되는 시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a. 회원의 탈퇴요청의 경우 회사가 회원탈퇴 처리의 완료를 통보하는 시점에서 탈퇴가 완료됩니다. 다만, 회사는 완료 통보일로부터 30일의 유예기간 동안 기 적립된 포인트 정보를 소멸시키지 아니하고 저장하였다가, 회원이 별도의 절차를 거쳐 재가입 요청을 하고 회사가 이를 허락하여 유예 기간 내 재가입할 경우, 모든 포인트를 재사용토록 하며, 재가입이 없어 유예기간이 지나면, 모든 포인트가 즉시 소멸됩니다.
b. 회원자격상실의 경우 통보일에 회원 자격상실이 확정됩니다. 단, 사망으로 인한 자격상실의 경우에는 회사의 통보여부와 상관없이 회원 사망일에 자격상실이 확정되며, 당해 회원에게 제공된 기 회사의 서비스나 관련된 권리는 회원의 상속인에게 상속되지 않습니다.
4. “회원”이 탈퇴하거나 자격을 상실할 경우, 관련법 및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따라 “회사”가 회원정보를 보유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효력발생 시 “회원”의 모든 정보는 소멸됩니다. - 제 23 조 [이용제한]
1. “회사”는 “회원”이 본 약관 제11조 제1항의 의무를 위반하거나 서비스의 정상적인 운영을 방해한 경우, 경고, 일시정지, 영구이용정지 등으로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2. “회사”는 “회원”이 주민등록법을 위반한 명의도용 및 결제도용, 저작권법 및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을 위반한 불법프로그램의 제공 및 운영방해, 정보통신망법을 위반한 불법통신 및 해킹, 악성프로그램의 배포, 접속 권한 초과행위 등과 같이 관련법을 위반한 경우에는 즉시 영구이용정지를 할 수 있습니다. 본 항에 따른 영구이용정지 시 서비스 이용을 통해 획득한 수익 등 기타 혜택 등도 모두 소멸되며, 회사는 이에 대해 별도로 보상하지 않습니다.
3. “회사”는 “회원”이 계속해서 1년 이상 로그인하지 않는 경우, 회원정보의 보호 및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4. “회사”는 본 조의 이용제한 범위 내에서 제한의 조건 및 세부내용은 이용제한정책 및 개별 서비스 상의 운영정책에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5. 본 조에 따라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거나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에는 “회사”는 그 사유 및 제한기간 등을 회원에게 알려야 합니다.
6. “회원”은 본 조에 따른 이용제한 등에 대해 “회사”가 정한 절차에 따라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이의가 정당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즉시 서비스의 이용을 재개합니다.
7. “회사”는 “회원”이 “포인트”의 부정적립, 부정사용 등 “포인트”를 부정한 방법 또는 목적으로 이용한 경우 “회원”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부정 적립된 포인트는 위 서비스 제한 통보와 함께 동시 소멸하고 이에 대하여 회원은 어떠한 권리도 주장할 수 없습니다. 또한 부정적립 포인트로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등의 부당이득이 발생한 경우 회원 당사자 또는 부정적립 동조자가 “회사”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을 집니다.
– 부정적립 : “회원”이 서비스 이용 후 환급금을 포인트로 받기로 선택하거나 포인트를 구매하는 등 본 약관에 따라 포인트를 적법하게 적립받을 수 있는 행위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당해 회원에게 포인트가 적립된 경우를 말합니다. 그러나 시스템의 오류 등 회원의 귀책사유에 의하지 않고 포인트가 적립된 경우는 이에 제외됩니다.
– 부정사용 : “회사”나 “회원”의 동의 없이 타 “회원”의 포인트를 수단과 방법에 관계 없이 임의로 사용한 경우를 말합니다. - 제 24 조 [부정이용 금지 및 차단]
1. “회사”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를 부정 이용행위로 봅니다.
a. 동일한 계정으로 2대 이상의 PC에서 동시접속이 발생하는 경우
b. 동일한 계정으로 다수의 PC 또는 IP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c. 자신의 계정 및 강좌 등의 서비스를 타인이 이용하도록 하는 경우
d. 자신의 계정 및 강좌 등의 서비스를 타인에게 판매, 대여, 양도하는 행위 및 이를 광고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e. 서비스 이용 중, 복제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또는 녹화를 하거나 시도하는 경우
f. 타 회사를 통해 환불을 받고 이를 “회사”에 알리지 않고 유료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2. “회사”는 전항에 따른 부정 이용자가 발견되었을 경우, 해당 이용자를 강제 탈퇴 처리하며 회사의 법률 대리인을 통한 고발조치와 민사소송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회원”은 제2항의 조치를 이유로, 서비스 이용기간의 연장이나 환불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
4. “회원”은 “회사”로 부터의 제2항의 조치에 대해 이의가 있는 경우, 회사의 법률 대리인을 통해 이를 소명할 수 있습니다.
5. 부정이용 식별 및 차단은 아래 각 호의 방법에 따릅니다.
a. “회사”는 “회원”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부정이용 여부를 확인합니다
b. “회사”는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 중에 복제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동일한 계정으로 동시 접속을 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 접속을 강제로 종료 시킵니다. - 제 25 조 [면책]
1. “회사”가 천재지변 또는 이에 준하는 불가항력으로 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2. “회사”는 “회원”의 귀책사유(지원되지 않는 환경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로 인한 서비스 이용의 장애에 대하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3. “회사”는 “회원”이 서비스와 관련하여 게재한 정보, 자료, 사실의 신뢰도, 정확성 등의 내용에 관하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4. “회사”는 “회원” 간 또는 “회원”과 제3자 상호간에 서비스를 매개로 하여 거래 등을 한 경우에는 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5. “회사”는 “회사”가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관련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6. “회사”는 콘텐츠 공급자가 제공하거나 “회원”이 작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서비스에 게재된 정보, 자료, 사실의 신뢰도, 정확성 등에 대해서는 보증을 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회원”의 손해에 대하여는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7. “회사”는 “회원”이 “회사”에 사실과 다른 내용을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 인증서 등의 오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제 26 조 [재판관할 및 준거법]
본 약관의 준거법은 대한민국법으로 하며, 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회사”와 “회원” 간에 발생한 분쟁에 대해서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을 전속적 합의관할로 합니다. - 제 27 조 [규정의 준용]
본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한국법의 관계법령에 의하고, 법에 명시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는 관습에 의합니다. - 부칙
1.본 약관은 2020년 3월 26일부터 적용됩니다.
339 개의 댓글
(0)
안녕하세요. 판매할 물건이 이미 미국 아마존 창고에 도착했는데요. 몇가지 문제가 새로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1. 셀러계정정보 -> 리스팅상태에 들어가면 “Amazion.com 비활성(아마존에서 판매리스팅 사용 불가능)” 이라고 나타납니다.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요.
입고 후 실제로 판매 상태가 열리기 까지 조금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기는 한데요 혹시 입고된 지 얼마나 지나셨나요?
(0)
1. 6월 13일 입고됐습니다.
2. 제가 아마존계정 개설시 사용한 여권이 만기가 다 돼서 새 여권을 받았는데요, 이 새 여권 내용을 갱신 업데이트를 아마존셀러센트럴 화면 어디를 클릭해 들어가서 하는지요?
3. 작년 계정개설한 후 활동이 없어서 최근 “현재 아마존 판매 서비스에 대한 엑세스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라는 문구가 떠 있어서 최초에 사용했던 여권사진을 upload 해서 6월6일 계정 다시 활성화됐다고 메일을 받았었는데, 물건 13일 모두 아마존에 입고가 됐는데 또 Amazon.com 옆에 Inactive 라는 문구가 계속 있는데요, 이것이 구여권을 그대로 업로드해서 생긴 문제인지요? 구여권에는 유효기간이 6개월이 안남아 있거든요.
13일 입고면 아직 실제로 리스팅이 열리기 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겠네요.
2,3. 여권 갱신을 하도록 따로 마련 되어 있는 곳은 없는 것으로 알고 아마존이 요구 할때 업로들르 하면 될텐데요
만약 계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이 되신다면 셀러 서포트를 통해서 문의를 하셔서 해결 하는 게 빠를 것 같습니다. 여권은 기존의 것과 같지 않아도 되니 이제부터는 새로 발급 받은 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흔들림이나 빛 번짐 없는 또렷한 촬영 원본으로 제출 하시면 문제 없을 것 입니다. (스마트폰 가장 고화질로 찍고 화질 저하나 변환 안 된 촬영 원본 그대로 올리세요~)
(0)
대표님!..아마존 창고에 배송할때 주소가 어디에 나와있는건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수업노트의 PDF를 확인해주세요~!
(0)
아마존 메시지로 파일을 보내는 것도 안될까요?
네, 안됩니다.
(0)
그리고 대표님, 제 제품이 영어해설서가 PDF로 되어있어서 따로 메일로 연락주면 보내주겠다라고 쓰면 아마존에서 밴먹일까요? 혹시 다른방법이 있을까요?
따로 개별적으로 연락을 요구 할 수 없습니다.
패키지 안에 PDF 설명서로 바로 열결되는 QR 코드가 들어있는 인서트 카드를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0)
저는 이미 자체제작한 상품이 있는데, SKU바코드를 라벨로 출력해서 붙이려고하는데 그렇게 해도 되는거죠? 40개를 보낸다면 40개 모두에다 붙이면 되는걸까요?
네 맞습니다, 아마존 바코드를 기존 upc 바코드를 잘 가릴 수 있도록 모두 부착 해주시면 됩니다.
(0)
대표님 모르는게 있어서요!…
1.ddp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 제가 모든 비용을 내고 배송한다는 건가요?
2.패키지 규격이랑 중량 작성할때 카툰 패키지 말하는건가요?
ddp는 제조업체에서부터 아마존 창고까지 배송되는 모든 과정을 책임지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경험이 없으시다면 ddp로 진행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조업체에게 DDP를 맡길 수도 있고 운송 업체를 고용해서 DDP를 맡길 수도 있습니다.
포장 상세 내용에서 작성하는 규격 중량은 카톤박스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0)
안녕하세요?
몇 가지 의문사항이 있어 글 남깁니다.
1) DDP(?) 배송을 하면 공장에서 알아서 아마존 풀필먼트 창고까지 제품이 도착이 되는 건지요?
2) 공장에서 도착 항구이름을 묻던데 난감합니다. DDP 로 진행하면 알아서 출고하고 미국 도착해서 육로 이송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맞는지요?
3) 미국 도착 후 수입 관세는 누가 지불을 하는 지요? 제품이 판매가 되면 아마존에서 추후 부가가 되는 건지요?
4) Tracking ID# 추적 번호를 입력하라고 하는 데 이 번호는 누가 저한테 주는 걸까요?
SPD 로 입력을 했는 데 이건 소량 박스 AIR 발송 시에만 사용하는 건지요? LCL 로 입력을 하는 게 맞는지요?
총 40박스(신발 600족) 입니다. 답변 부탁드릴께요 ㅜㅜ
1. 제조업체를 통해 ddp 배송을 하시면 아마존 창고까지 배송을 책임집니다.
2. 공장에는 배송 보내야 할 아마존 창고 주소를 알려주시면 됩니다.
3. 관세가 붙는지 붙는다면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 DDP를 맡기신다면 운송사나 제조업체를 통해 문의해보세요.
4. 제조업체 혹은 운송사가 배송 보낸 뒤 전달을 해줍니다.
5. 팔렛트가 아닌 카톤박스로 배송 하셨다면 SPD로 입력 하셔도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신발 600개를 아마존 창고로 보냅니다. 큰 박스에 15족씩 설정하니 총 박스 수가 40박스가 되는데, 배송 목적지는 shipment 1, shipment 2 로 MD, TX 두 군데로 나누어지는 데
1) 그럼 컨테이너를 2대에 나누어서 선적하라는 의미인지요?
2) 그리고 600개에 대한 개별 박스 스티커는 붙이지 않는지요? 처음에 제품 리스팅 했을 때 GS1의 EAN 코드를 받아서 아마존에 제품 리스팅을 했습니다.
붙여야 한다면 아마존 셀러센트럴 어디에서 출력이 가능한지요?
위 두 가지 의문사항 회신 부탁드릴께요^^
1. 네 각각 수량 맞게 박스를 나눠서 보내시면 됩니다.
2. 재고 > 모든 재고 관리 > 상품 우측 편집 버튼 옆의 아래 화살표를 누르신 뒤 아이템 라벨 인쇄 를 선택하세요.
패키지에 기존 EAN 바코드가 프린트 되어있다면 가려서 붙이셔야 합니다.
(0)
안녕하세요^^
요가 매트가 100개 인데 FBA 바코드는 왜 5장만 출력을 하는지요? 100개 전부 FNSKU 를 붙여야 하지 않을까요? 답변 부탁드릴께요.
이번 강의에서 출력한 바코드는 배송라벨 입니다 FNSKU 바코드가 아닙니다. 개별 상품에 부착하는 것이 아닌 개별상품들을 담은 큰 박스에 붙이는 운송장 같은 개념입니다.
(0)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오늘 DHL 통해서 발송을 했는데요, 저희는 단순 플라스틱 제품이라서 수출신고는 따로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런경우 간이과세자로 발송해도 무방할까요?
그리고 한가지더 문의드립니다.
배송 라벨인쇄할때 따로 라벨프린터가 없어서
A4 용지에 인쇄했는데 괜찮을까요?ㅠㅠ
네 간이과세자로 발송하셔도 괜찮습니다.
배송 중 라벨이 파손이 되거나 잉크젯 프린터기여서 잉크가 번지거나 하지만 않도록 잘 보호하신다면 산관은 없을 것 입니다.
(0)
안녕하세요.
제조 업체에서 제시한 DDP 비용이 비싸서 중국 내 운송 업체를 따로 계약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출고처 주소를 제조 업체가 아닌 운송 업체로 하는 게 맞는 거죠?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
해당부분은 운송업체에게 정확히 확인 하신 뒤 진행 하시기 바랍니다~!
(0)
배송계획을 취소하고 싶은데요, PDF에따라 취소하려니 탭이 조금 변경된것같습니다.
여차저차 비슷하게 찾아갔는데 배송편집이 되지않아 취소를 못하고있는데 어디서 취소를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배송 이름 누르시거나 진행중인 배송 계획의 화면에서 맨 하단에 배송취소 버튼이 있습니다~!
(0)
지금 아마존으로 보낸 후 기달리다가 사용가능이 164가 됐는데 판매가 되는 중일까요? 아니면 판매 시작을 위해 눌러야 하는 버튼이 있을까요? 제 판매 url를 들어가서 카트를 담아볼려고 했는데 안담아져서 판매가 안되는거 같아요
모두 입고가 안 된 상태로 보이는데요 모두 입고가 되고 나면 정상적으로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존의 각 창고 거점으로 제품들이 분산되는 중일 것으로 보입니다. 보내신 수량이 모두 사용 가능이 될 때까지 기다려보세요.
(0)
안녕하세요 대표님^^;
제조사에서 트래킹 넘버를 알려 줬습니다.
근데 총25박스인데 트래킹넘버는 2개밖에 아닙니다. 같은 상품에 2가지 색상이라 트래킹넘버가 2개뿐일까요?
셀러센트럴 배송정보에는 25개 다 입력하게 되어있던데 박스마다 색상별로 같은 트래킹 넘버를 입력하면 될까요?
해당 부분은 제조업체에 문의를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대표님. 오늘도 질문 드립니다^^;;;
제조사에서 상업송장을 보내줬습니다 확인후 연락달라고 하는데 수하인 전화번호를 알려달라고 해서 셀러서포트에 문의 후에 물건받을 FBA쪽 전화번호를 알려줬는데 상업 송장에 받는사람 이름은 제 이름(Howon Kim)으로 되있고 받는사람 전화번호는 FBA쪽 전화번호(866) 531-2476) 로 되있는데 맞는건가요? 아니면 받는사람 이름도 FBA쪽 담당자 이름을 적어야 하는지요.
물건은 이미 발송된 상태입니다.
따로 담당자 이름을 알 수 없습니다. 아마 배송라벨을 제대로 부착해서 보냈다면 문제없이 처리 될 것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0)
선택하지도 않았는데 지금 이 설정으로 되어있는데 어떻게 바꾸면될까요?
왜 그런 형상이 생기셨는지 처음 보는 케이스라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일단 개별 상품으로 배송 계획 작성을 진행 해보시겠어요?
(0)
패키징 안에 색상만 다른 똑같은 제품이 5개가 들어가 있는데 개별 상품 맞나요?
똑같은 제품 5개 들이 패키지가 하나로 묶여서 판매되는 상품이라는 말씀이시죠? 그것과 저 배송 옵션에서의 개별상품은 관계가 없습니다. 개별 상품은 케이스 박스(배송용 큰 박스)에 여러가지 옵션의 제품을 함께 넣어서 보낸다. 거기서 알아서 분류해서 보관해야함. 이라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별도로 새 케이스 생성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그냥 개별상품 선택 후 포장을 하셔도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이네요.
(0)
아 그럼 저 상태로 그냥 배송을 보내도 상관이 없다는 말씀이신건가요?? 제 상품이 양말입니다. 양말을 다섯개를 한 패키징에 넣어서 케이스박스에 40박스씩 넣어서 보낼려고 하는 중입니다.
그냥 보내도 되는거죠??
네네 수량만 잘 맞게 작성 하셔서 보내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0)
FBA배송라벨을 뽑았는데요
전에 제가 아마존계정승인 받은후 사업자를폐업하게되서 문의했을때 남편명의로 세금정보등록을 바꾸면 된다고 말씀주셔서 그렇게했는데요
세금정보때문인지 라벨왼쪽에 회사이름이 아니라 남편명의로 나오는데요. 상관없겠죠? 무사히 잘 도착하겠죠??
네 아마존에서는 배송라벨의 바코드 부분을 사용하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0)
대표님 안녕하세요
보관한도 초과라고 오류가 뜨는데 제가 치수를 잘못 입력 한건지.. 박스 크기가 가장 큰면이 50cm입니다.
근데 보관한도 때문에 4박스 밖에는 발송이 안됩니다.
박스에 모든 면이 50cm이라고 해도 8박스면 가로,세로, 높이가 1m인데 4박스밖에 보관이 안된다는게 말이 안돼는거 같아서요.
한박스에 30개의 상품이 들어가는데 4박스면 120개 밖에는 발송이 안되는데 이렇면 자리가 날때마다 계속 1박스씩 발송을 해야되는건가요?;;;
혹시 인디비주얼 계정인가요? 보관 부피 한도가 적은 것 같은데요, 만약 프로페셔널 계정이라면 아마존 셀러 서포트를 통해서 한 번 보관 한도를 늘릴 수 없을지 요청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0)
컥 이런;; 인디비주얼로 다운그레이드 해놨습니다;; 프로페셔널로 업그레이드 하고 해결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하나만 더 드릴게요^^;;
1. 두가지 색상 총 750개 중에 섞일 수 밖에 없는 짜투리 (Pink 10개 + White 20개) 30개는 사진처럼 개별 상품으로 진행하면 될까요?
2. 제조사가 보낼곳을 알려주면 DDP 배송을 알아봐 준다는데
배송지: FTW1 – 33333 LBJ FWY 75241-7203 – Dallas, TX – United States 이걸 알려주면 될까요?
질문이 너무 많아서 정말 죄송합니다 ㅠ
1. 네 개별산품으로 진행 하시면 됩니다 잘 하셨네요!
2. 배송지는 배송계획 작성 하시면 아래 2단계인가 3 단계에서 보내야 할 주소 알려줍니다!
(0)
안녕하세요 대표님.
제조사에서 Shipping mark 라는 파일을 보내줬는데 QTY : 30 PCS 이게 한박스에 30개가 들어간다는 말인지 총 수량을 30박스로 발송이 된다는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보내주신 정보 만으로는 저도판단이 어렵습니다. 제조사에 직접 물어보시는 것이 더 빠를 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혹시 창고 주소는 10분 8초에 나오는 배송번호 1 아래에 있는 것이 제 창고 주소 인가요? 그러면 공장에서 창고로 보낼때, 수취인을 제 이름을 적어야하는지 아니면 저희 브랜드명을 적어야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배송날짜의 경우 이것을 알려면 이미 제품이 완성 된 후에 배송시작될때 쯤 알게 될것 같은데, 저는 현재 제품을 만드는 중에 있습니다. 그러면 아직 Carton박스의 바코드는 생성을 못하는 것이죠? 만약 배송날짜를 배송업체에서 알려주었는데, 지연되어 제가 적은 기한의 1~2일이 아닌 더 늦게 도착하게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 지도 알 수 있을까요?
배송 날짜는 며칠 밀려도 크게 상관 없습니다. 아마존 창고는 정말 여러 곳에 위치해서 배송계획을 입력하면 아마존이 어디로 보내라고 알려줍니다. 한 번 임시로 배송계획을 작성 해보세요.
제품 제작이 완료 되어서 카톤박스 크기도 정해지면 그 때 배송라벨을 뽑으셔도 늦지 않습니다.
(0)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저는 설명 해 주신대로 이제 CASE 팩킹하고 바코드 붙이고 작업 예정입니다.
질문1. CASE 안에 9개 Small box 로 포장을 할 건데, 이 9개 박스에도 아마존 바코드를 붙여야 하는 것 맛는지요?
질문2. 아마존 DDP 가 있던 데 무엇인지요? 그리고 LCL 로 하는데 인코텀즈가 무엇인가요? FOB, CIF, DDP 중 특히, DDP 는 무엇인가요? 그냥 CIF 로 하면 되는지요? 도착해서 아마존 창고까지 내륙 운송료 비용은 어떻게 진행되는지요? 시원하게 설명 부탁드릴께요^^
시원한 설명 드리겠습니다.
1. 아마존 바코드 FNSKU 바코드 말씀 하시는 거면 꼭 부착을 하셔야 합니다. CASE 박스에 붙이는 것은 배송라벨 입니다.
2. DDP로 진행 하세요. DDP가 내륙 운송 등 모두 포함 한 배송 방식입니다. FOB, CIF, 등등등 – 모두 제조업체에서 아마존 창소까지 배송하는 과정중 어떤 것들이 하나씩 빠져있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DDP는 제조업체부터 아마존 창고까지 모든 것을 책임지는 형태입니다.
(0)
패키지 규격 업데이트에서 실제 제품 규격인지 아니면 박스 규격인지 모르겠어요. 왜냐면 제품을 말아서 박스에 넣거든요.
패키지 박스 규격입니다~!
(0)
제가 현재 의류쪽으로 준비하고 있는데 포장상세내용 입력할때 패키징 박스안에 있는데 저기 나온대로 꼭 해야하는건가요??
(0)
FBA 아이템 준비 거기 말씀드리는겁니다!
죄송합니다 질문 요지를 파악을 못했습니다. 다시 한 번 자세하게 질문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양말을 팔거같은데 이부분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가지구요 ㅜㅜ
(0)
그리고 이 영상 부분에 나온거처럼 박스패키징 마지막 부분에 비닐을 넣어야할까요?
네 일단 아마존이 요구하는 포장 요건은 모두 갖추시는 게 안전합니다.
박스안에 제품이 들어있다면 오염 방지를 위한 내부 비닐을 따로 포장 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박스를 비닐로 포장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박스가 아마존 창고내, 배송 중 오염이 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깔끔한 상태로 고객이 받아볼 수 있도록 하시는게 좋습니다.
리뷰가 좋게 쌓여야 그 이후 판매를 꾸려 나갈 수 있습니다. 리뷰가 안 좋게 달리면 무슨 짓을 해도 상품은 잘 안팔리기 때문에
좋은 리뷰에 방해가 될 요소는 모두 미리 싹을 잘라 놓는 게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배운대로 제조업체와 소통하려고 하는데 제조업체가 진행하는 방식과 맞지않아 소통이 어려운 1인입니다. (출고처 주소를 알려주기 어렵다는 둥..)
어찌어찌 대금 결제 단계까지 왔는데요.
제조단가+배송비 외에 따로 수수료가 600달러정도 나왔네요.. 이유를 물으니 출고처 주소에 따라 미국으로 보내는 수수료가 붙는다고 합니다.
이게 맞는걸까요? 제가 컨택한 제조업체는 일반적이지않은것같아 문의드립니다.
수수료가 제조업체 쪽에서 요구하는 걸까요?
아마존에서 요구하는 수수료는 (재고 자동배치) 옵션을 선택했을 경우 자동 배치 수수료가 추가 되는데 제조업체 쪽에서는 왜 출고처 주소를 못 알려주는지도 의아하고
처음 이야기했던 배송료에서 수수료를 (그것도 도착지도 아니고 출고처에 따른?) 더 받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믿을수 있는 제조업체가 맞는걸까요?
(0)
네, 제가 제조업체에 대금지불할때 같이 지불해야하더라구요.
출고처 주소는 한국주소로 해도 문제없다 이런 말을 하고, 수수료를 지불하지않는 방법으로 다른 출고처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이러면 제가 아마존 재고등록을 다시 해야해서 거절했습니다)
“My friend, the tax is the consumption tax charged by Alibaba backstage to customers in the US address. This fee will not be paid to my account, which is the policy just released this year.”
라고 답변이 왔습니다.
알리바바의 Trade Assurance 와 Verified Supplier 를 체크하고 찾은 업체이긴 해요.
저도 이상해서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다른 업체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이게 맞는거겠죠??
네, 다른 업체를 찾아 보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전체적으로 설명도 불친절 한 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이제 제조업체에(알리바바를 통한) 선입금을 지불하고 제품을 생산할 단계인데요.
돈이 오고가다보니 계약서(?) 같은걸 요구하면 되나요?
강의에는 invoice를 요구하라고 하셨는데 계약서 형식은 아니라서요..
어떤걸 받아놓으면 될까요?
보통 알리바바를 통해 결제 대금 지불을 하시면 어느정도 안전이 보장이 되기 떄문에 계약서 까지는 필요가 없기는 합니다.
하지만 불안한 마음에 계약서 작성을 원하신다면 제조업체쪽에 요구를 할 수 있습니다.
(0)
질문이 있어서 남깁니다. 아직 물건 리스팅은 안했고 중국업체랑 가격이랑 운송비 조율중인데요, 중국에서 미국으로 보내는 운송비 문의하니깐, 미국 어느주에 아마존 창고라고 물어보더라구요..배송계획을 입력을 해야 꼭 주소가 뜨는 건가요? 대략적인 주소는 그 전에 알수 없을까요?
Amazon.com Services, Inc.
1760 County Line Rd
Lakeland, FL 33811-1808
US (TPA2)
일단 이 주소로 한 번 받아보세요~!
(0)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 남깁니다.
Red, Blue 2가지 색상에 3가지 사이즈로 베리에이션이 총 6개입니다. carton박스에 22개씩 총 7개 박스가 배송예정인데요.
이렇게 되면
1. “개별상품포장” 으로
2. “여러개의 박스가 필요함” 으로 엑셀파일 작성하여 업로드 하면 되는지요? 이렇게 보낼 경우에도 아마존박스규격에 맞춰야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일단 아마존 박스 규격에는 무조건 맞아야 합니다.
그리고 각 케이스 박스에는 한 종류의 제품이 들어갈 수 있도록 담아서 ‘새 케이스 포장 템플릿 생성’ 으로 진행 하시고
섞일 수 밖에 없는 한 개의 케이스 박스만 개별상품 으로 진행 하시면 됩니다. 엑셀을 작성 하셔도 되고 웹 양식을 통해 입력 하셔도 됩니다!
(0)
안녕하세요, 궁금한 내용이 있습니다.
한개의 박스엔 동일한 FNSKU의 상품만 담겨야 하는걸까요?
FNSKU의 상품이 혼재되어 담긴 경우 쉬핑 라벨 작성이 어떻게 되어야 하나요?
하나의 케이스 박스에 여러 상품을 넣는 경우 개별상품을 선택하셔서 진행하시면 되니다!
아마존 창고 배송할때 따로 카톤박스 없이 1개의 박스에 제품 1개씩 넣어서 바로 출고할 경우에 쉽핑레이블이랑 fnsku두개를 같이 붙여서 출고하면 될까요? 이런경우 LTL로 배송하는게 맞나요? 아니면 1단계엥서 개별상품으로 진행해야 하나요
(0)
안녕하세요 아마존 FBA 창고 주소는 따로 알 수있는 방법이 있나요?
배송 계획을 입력 하시면 어디로 보내라고 배송 주소를 안내해줍니다~!
(0)
안녕하세요~한가지 제품(색상 3가지 동일상품을 세트판매 ) 박스에 포장해서 보내려고 하는데 개별상품으로 하는 것이 맞나요?
3가지 색의 상품이 한 박스로 묶여서 1개의 상품처럼 제작 하셔서 보내는 것이라면 세트 상품은 결국 ‘상품 1개’ 로 취급 합니다.
꼭 개별상품을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0)
안녕하세요 질문있습니다.
배송상태가 수령으로 되있는데요 제리스팅창은 Currently unavailable. 이걸로 되어있는데 저게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해야 판매가 시작되는지 알수 있을까요?
아그리고 제 제품에 따라들어오는거?? PL방식 판매자들 막고싶거든요… 뭐 저한테 승인을 받아야 판매가 가능하다 그런문구가 있잖아요… 그렇게도 설정해놓고싶은데 그설정은 따로할필요가없나요???
아니면 해야 PL을 막을수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브랜드를 등록해서 진행 하셨기 때문에 다른 판매자가 해당 브랜드와 똑같인 이름을 상요해서 리스팅을 할 수 없습니다.
배송이 완료 되어도 창고에서 실제로 판매를 위해 재고 배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좀 더 기다려야 실제 판매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0)
안녕하세요.
배송날짜 입력하고 워크플로 생성했는데
입력한 날짜보다 배송이 좀 늦춰질거 같습니다.
배송날짜 수정할 수 있나요? 아니면 이 워크플로는 삭제하고 새로 다시 만들어야할까요?
안전하게 하시려면 새로 생성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며칠 차이로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0)
안녕하세요.
한가지 상품을 2가지 색상으로 준비했는데요.
총 400개(a색: 200개/b색: 200개)를 아마존으로 보내려고 합니다.
포장해보니 a색 8 CTN, b색 8 CTN, a+b색 1 CTN , 총 17 CTN이 나왔습니다.
이 경우, a색과 b색이 혼합된 박스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개별상품 을 선택 하셔서 각 각 상품의 수량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0)
질문이좀많아요.
1. 참조아이디 가르쳐달라고 한게 이물건보내달라고한사람 이 누구라고 알려주기위함??? 이라는데 원래 이런가요?
2.참조아이디 가르쳐줬을때 잘못하면 생기는 문제가 있을까요?
3. 처음에는 트레킹 넘버가 하나라길래 박스가 두개가는데 한개???? 라는생각에… https://www.ups.com/ 여기사이트에서 조회 해보니깐 트레킹 넘버가 두개가 뜨더라구요..
그래서말인데요… 어차피 같은제품 같은 수량이니깐 트레킹넘버 2개 다 아무곳에 적는게 맞겠죠???
4. 만약에 다른상품이 섞여도 트레킹넘버는 다적어주는게 맞는가요???
1,2 그냥 아마존 아이디만 알려주는 거라면 문제가 없어보입니다.
3,4 각 박스에 맞는 트레킹 넘버를 입력 하시는 게 맞습니다. 다른 상품이 섞여 있다면 더더욱 잘 입력을 해야겠죠!
(0)
질문 하나 더요…
제조사에서 아마존 참조아이디를 가르쳐달라는데 가르쳐주는게 맞나요?
안 가르쳐 줘도 상관 없습니다.
무슨 일로 필요한지 물어보세요.
(0)
오늘 물건 보내는데요… 배송 대기열
에서
누락된 추적 ID 제공
이게 뜨는데.. 이거어떻게 없애야되나요???
모르고 같은물건을 3개 만든뒤 2개는 지우고 쓸것만 하나 남겨놨는데도 저게 계속떠있네요.
배송사에서 추적 ID를 받은 뒤 추적 ID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0)
질문이요.
50개씩 2박스로 배송이 되면 소화물 배송으로 하고 배송사는 기타로 해도되는가요???
소화물 배송은 맞고 해당하는 배송사가 없을 시 기타로 지정하세요.
(0)
이질문을 어디다가 넣어야될지 모르겠어서 여기다가 질문을 남깁니다…
제품을 만들고 118달러 짜리 검수 서비스를 요청을 하고 결제까지 다했어요..
그런데 공장쪽에서도 연락을 취하니깐 14일날 오겠다 하더니 그전날연락와서 14일못간다.
그러다가 16일날 가겠다고 했다네요… 근데 16일도 확정이 아니고 갈수도있다. 정도로만 말을 했나봐요..
그래서 공장직원분이 제품 화상통화로 보여줄테니깐 직접 보래서 직접확인을 했구요… 여튼 이런상황이고..
연락도 잘안되는 업체라서 신뢰도가 없어요… 그래서 환불받을려는데.. 알리바바는 스케쥴이 맞춰지고 나서 환불요청을 다시하라는데.. 이거 어떻게 환불요청을 해야되는건가요???
알리바바 통해서 결제 하신 거면 일단 알리바바측에 강하게 어필 해보시는 수 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0)
궁금한게 하나있습니다.
제가 처음은 비행기로 소량만 보낼꺼지만 두번째부터는 천개단위로 물건을 보낼생각이라 배로 보낼려고하면요…
이전강의였나?? 거기서는 되게 복잡하게 설명하시던데… 실제로도 해양배송이좀많이복잡한가요????
해양배송할려면 어떻게 준비해야되는지도 좀궁금합니다.
아마 지금 거래하는 공장에다가 제작의뢰 할꺼같은데요.. 그냥 공장에다가 해양배송하겠다면 알아서 배송해주는가요???
공장에 DDP로 해양 배송이 가능한지 물어보세요.
안 된다고 한다면 알리바바에서 DDP로 운송 해주는 업체를 구해보셔도 됩니다.
업체에 맡기면 그리 복잡하지 않습니다.
(0)
안녕하세요. 아마존으로 발송과 관련해 문의 드립니다.
일반 셀링 계정에 아마도 보관 한도 제한이 생긴 것 같습니다.(사진)
이와 관련해 셀러 서포트에 문의하였지만 회신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이렇게 댓글을 남깁니다.
프로페셔널 계정으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할까요? 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판매할 상품을 보내실 예정이시라면 프로페셔널로 업그레이드를 하세요~!
판매가 시작된 뒤 수수료 등 프로페셔널 계정이 더 이득이 많답니다!
(0)
안녕하세요 아마존으로 입고관련하여 여쭤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중국에서 바로 아마존 FBA로 보내는경우와 중국에서 한국으로 들여와서 아마존 FBA로 보내는 경우
이 두가지 방법에서 비용적인 차이가 나나요??
후자는 한국으로 들여왔다가 다시 해외로 가는 부분이라 이중으로 더 비싼걸까요??
이 부분이 너무 궁금합니다 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네 배송과 기타 비용이 2중으로 들게 됩니다.
한국으로 들여와서 어떤 작업을 해서 다시 미국으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면
중국에서 바로 보내는 편이 이득입니다.
(0)
안녕하세요. 강의 열심히 보면서 따라하고 있습니다 🙂
FBA 발송에서 궁금한 사항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제품을 한 Case에 넣을떄, 각 제품들은 고객에게 바로 출고 가능한 상태로 개별 포장이 되어 있어야 하는 건가요?
아니면 아마존 FBA에서 출고 직전 일반 3PL업체처럼 제품을 박스(또는 폴리백)등에 포장해서 발송해 주는 건가요?
패키지 포장 상태면 됩니다. 제품 사이즈나 기본 패키지의 포장 상태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적당한 2차 패키징 이후에 발송이 됩니다.
(쿠팡 로켓배송을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합니다.)
(0)
안녕하세요. 내용물을 담은 카툰박스의 무게가 49.9파운드정도 하는데 테이핑 등의 무게로 간혹 50파운드가 살짝 넘는 경우에도 칼같이 입고 거부를 하나요?
네 무게 관련 해서는 최대한 안전하게 진행 해주세요.
(0)
안녕하세요, ASIN 중량을 입력 후 저장을 하였는데 오차가 있어서 수정을 하려 합니다. 수정 탭이 보이지 않아 문의 드려요. 혹 이미 입력한 패키지 중량/규격은 어디서 수정이 가능한가요ㅠㅠ?
재고 > 재고관리 수정하고 싶은 재고 오른쪽에 편집을 누르세요.
추가특성 단추가 비활성화 되어있다면 활성화 시켜주시고
More details 탭으로 가셔서 수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0)
규격은 상품의 규격인가요 아니면 패키지 전체의 규격인가요?
어디에서의 규격을 말씀 하시는 걸까요?
강의 8분15초에 나오는 규격이요. 상품만의 규격인지, 상품이 패키지에 쌓인 상태의 규격인지요?
네! 패키지 규격입니다.
(0)
안녕하세요. 도어로 택배를 이용해서 fba로 보내려고 하는데 도어로 측 공지사항을 보니 배송 시 ddu로 진행하는 경우, 그리고 ddp 조건이어도 미국 세관에서 수입자 지정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 보낸 물건이 착불반송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
1-1. 확실하게 관세를 내지 않을 정도의 물건만 보내기 때문에 ddu로 진행을 하려고 하는 건데,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 것이 명확한 상황에서도 반송 이슈가 생기는 건가요?
1-2.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ddu 대신 매번 ddp로 진행을 하는 것이 나을까요?
2-1. 수입자 지정과 관련해서 찾아보니 목록통관, 약식통관까지는 수입자 지정이 필요 없고 2500$가 초과되는 정식통관일 때만 수입자 지정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저는 당장 현재는 박스당 800$가 안 되기 때문에 목록통관으로 진행을 하게 될 것 같은데, 이런 경우에도 수입자 지정 관련으로 반송이 일어날 수 있는 건가요?
2-2. 수입자 지정 없이 확실하게 반송이 오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3. 도어로 측에서 수입자 지정 관련하여 컨택틱을 통한 CAIN 번호 발급 관련 대행 서비스를 소개해서 질문 드립니다. CAIN 번호 발급도 GS1처럼 한 번 금액을 내면 계속해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건가요? 아니면 물건을 새로 보낼 때마다 지정된 금액을 계속해서 내야 하나요?
도어로 서비스 이용 관련 해서는 도어로에 자세히 문의를 해보시는 것이 안전해보입니다.
저는 한국에서 미국 아마존으로 배송을 보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도어로 측에 자세히 답변을 받으셔서
안전하게 배송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0)
선편은 너무 오래 걸려서 국내에서 항공으로 fba로 보내고자 하는데 비용이 너무 비싸서 걱정이네요 ㅠㅠ
혹시 fba로 물건을 보낼 때, 두 가지 물건을 하나의 carton에 담아보내는 묶음배송도 가능할까요?
네 가능합니다. 개별포장 옵션을 선택해서 한 개의 박스에 들어갈 적정 사이즈에 들어갈 양만 보내시면 됩니다.
준비하신 제품 수량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항공 운송을 통해 아마존에 보내도 수익이 날 수 있을지 충분히 계산을 해보세요.
일부는 항공으로 일부는 해운으로 보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0)
이제 FBA로 물건을 보내고자 하는데 질문이 생겨 댓글 남깁니다.
1. 자택에서 FBA로 직접 배송을 진행하기 전, FNSKU 바코드를 출력하여 상품마다 붙이려고 하였는데 아마존에서 처리, 셀러가 처리라는 선택항목도 없이 제 상품은 라벨 부착이 불필요한 상품으로 나왔습니다. (그래서인지 아마존으로 발송하는 페이지에서도 SKU 라벨 인쇄와 관련된 항목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 경우, 별도의 FNSKU 바코드를 부착할 필요 없이 GS1에서 발급받은 GTIN 바코드를 출력한 뒤 붙여서 보내면 되는 걸까요? (혹시 몰라 덧붙이자면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은 브랜드 등록 없이 GENERIC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상품에 대한 창고 보관료 등의 경우, 일단 제품이 FBA 물류 창고에 도착한 뒤에 제게 청구되는 건가요?
3. CARTON 박스 라벨을 옆면에 붙여야 한다고 하셨는데, 이유가 있나요?
4. 기존에 가지고 있는 재고 물건에 대한 판매라서 제조업체를 통해서가 아닌 직접 배송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우체국 EMS를 통해서 FBA로 보내려고 하는데, 추적 ID라는 것은 EMS에 물건을 접수한 다음에 알 수 있는 건가요?
1. 일단 그런 경우라면 GTIN 바코드를 부착한 상테로 보내도 될 것 같은데요. 정확하지 않으니 셀러 서포트에 한 번 문의 하시고 진행 하세요.
2. 창고 보관료 등은 아마존 FBA 수수료에 포함이기 때문에 처음 보내는 상품에 대한 창고 보관비는 나오지 않습니다. 대신 만약 아마존 창고 1개로 보내서 재고배치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 부분은 추후 청구가 됩니다.
3. 윗면, 옆면에 모두 붙이시면 아마존 창고에 도착해서 처리가 더 빠를 수 있습니다.
4. 네 맞습니다. 운송장 번호와 똑같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0)
감사합니다. 셀러 서포트에 문의해보니 GTIN 바코드를 출력하면 된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1. 혹시 바코드를 출력할 때 바코드 윗면에 상품 이름이 들어가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단순히 바코드만 출력해서 붙여야 할까요?
2. 아마존 배송 설정 시 배송 출발 예정 날짜를 지정하는 게 있던데 혹시 사정상 지정한 날짜보다 늦춰져도 큰 문제가 없나요? 하루 이틀 정도 늦어질 것 같아서요.
3. 국내에서 판매할 때는 보통 배송 시킬 때 박스 안에다가 판매하는 제품에 대한 설명 1~2장을 프린트 해둔 걸 넣고는 하는데, 아마존은 CARTON 안에다가 저희가 파는 제품에 대한 INFORMATION 프린트지를 넣어두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1.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그대로 출력해서 붙이시면 됩니다.
2. 네 큰 문제는 없습니다.
3. 네, 아마존 창고 내에서는 거의 기계가 관리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람이 일일히 확인 하지 않기 때문에 CARTON 안에 그런 것은 포함 시킬 필요없습니다.
(0)
업데이트 란에 올려져 있는 PDF 파일이 “쉬핑 플랜” 만드는 방법인가요? 유튜브에 쉬핑 플랜이란 단어를 많이 봐서요. 쉬핑 플랜이라고 하니까 말이 좀 어려운데 그냥 중국에서 FBA로 보낼 때 셀러 센트럴에서 처리해야되는 내용이라고 보면 될까요?
네 맞습니다. 말그대로 배송계획을 작성하는 것 입니다.
우리가 아마존 창고로 이렇게 이렇게 배송을 할 것이다.
하고 아마존에 등록하는 과정입니다.
(0)
안녕하세요, 새롭게 업데이트된 내용 보다가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아마존으로 발송 PDF에 보면, 배송 일자를 적는 부분이 새롭게 업데이트 된 거 같은데요,
그 배송일자가 중국 제조업체에서 배송을 하는 날짜인지 아니면 미국 도착, 또는 아마존 창고에 도착 예정 날짜를 의미하는지 명확하지 않아서요
짐작으로는 현지 중국 제조업체가 발송하는 날짜인 거 같은데 맞는지요?
네 중국에서 발송하는 날짜가 맞습니다~!
(0)
FOB가.. 제조업체가 선적항까지 운송한고 하셨는데, 보통 선적항이 중국 port를 의미하나요? 아님 미국 port를 의미하나요?
중국 내 항구 입니다. 중국 부두에서 배에 물건을 싣는 것까지를 의미합니다.
그 이후의 해상 운송비용 미국 내 통관, 내륙 이동 등은 따로 업체를 계약해서 해결 하셔야 합니다.
(0)
안녕하세요 배송 관련 질문드립니다.
중국 제조공장에서 FBA 창고로 해상으로 보낸다고 가정하면..
DDP 방식은 제조공장이 계약되 있는 업체를 통해 중국 공장에서 보내고 미국 port에서 관세 관련 업무 해결 후, FBA 창고까지 배송하는것이고 (제조공장이 배송관련 업무 전체 진행)
FOB 방식은 제조공장이 역시 계약되있는 업체를 통해서 미국 port까지 이동시키고 freight forwarder에게 전달하면 포워딩 업체가 관세 관련 업무를 완료하고 FBA 창고에 안착시킨다.. 이게 맞나요?
즉, DDP 방식과 FOB 방식의 차이점은 ‘셀러가 freight forwarder를 따로 고용해서 관세 업무 및 미국내 이동 시키는 것’ 이라고 봐도 무방할까요?
그리고 제조공장이 계약되 있는 express로 FOB까지 보내면 이것도 역시 DDP 방식이라고 보면 되는거죠?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어떤 곳인지 정확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3PL 업체의 업무라는게.. 포워딩 업체 역할(관세업무해결해서 미국내로 반입해서 FBA로 이동) + 미국내 창고 대여 + 여러가지 잡다한 서비스 이렇게 보면 되는걸까요?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
DDP 방식과 FOB 방식의 차이점은 ‘셀러가 freight forwarder를 따로 고용해서 관세 업무 및 미국내 이동 시키는 것’ 이라고 봐도 무방할까요?
ㄴ 네 맞습니다.
제조공장이 계약되 있는 express로 FOB까지 보내면 이것도 역시 DDP 방식이라고 보면 되는거죠?
ㄴ FBA 창고 까지 보내는 것 말씀 하신 것이라면 맞습니다.
3PL업체는 각 업체별로 하는 업무가 있고 안 하는 업무가 있기 때문에 각 업체에게 어떤 업무까지 하는지 문의를 해보셔야 합니다.
제조업체에 DDP방식으로 견적을 받아보시고 알리바바에 DDP 업체를 검색 하셔서 그 업체에게도 비용을 받아보세요.
제조업체 쪽에서 제시한 금액이 더 저렴하다면 그대로 진행 하시는게 가장 속 편하고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제조업체가 제시한 금액이 너무 비싸거나 차이가 많이 날 경우 제조업체와는 exw 혹은 fob 방식으로 계약을 하시고 고용한 ddp 업체를 통해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0)
안녕하세요 대표님,
본 강의 듣고 아무래도 물류 쪽 초보이다 보니, 너무 기본적인 질문을 드리는 것 같습니다
1. ‘DHL’, ‘UPS’, ‘Fedex’, 또는 아마존 추천 업체인 ‘도어로(DOORRO)’, ‘KW 인터내셔널’ , ‘삼성 SDS’ 등을 통해 배송한다는 것의 의미가
제조 업체 공장으로부터 미국의 아마존 물류 창고까지 커버한다는 의미인건지 아니면, 미국의 공항(예: LA)까지만 커버되고 나머지 물류 창고까지의 육로 이동은 별도로 다시 계약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2. 국제 배송관련하여, 관세도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관세의 경우도 계약 시 계약한 배송료에 이미 들어가 있는지요? 아니면 별도로 저희 판매 업자가 직접 온라인을 통해 지불을 해야 하는지요
늘 감사 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1,2번 모두 각 배송 서비스에서 어떤 상품을 선택 하시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KW인터네셔널의 경우는 미국 내 KW 인터네셔널 물류 창고에 받아서 거기서 아마존 창고 까지는 셀러 센트럴에 요청해서 또 배송을 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자세한 배송 관련 사항은 각 서비스에 문의를 하셔서 자세히 답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서비스 내에서도 EMS인지 DHL 등의 특송인지에 따라서 관세 등 통관을 대신 해주는 서비스가 있고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0)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FEDEX 를 통해 물건을 배송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 통관 측에서 5106 서류를 수입자 측에서 제출해야 한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수입자는 아마존 창고인데 이럴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하나요??
셀러센트럴에서 여쭤봐도 잘 모르겠다고 답변이와서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비거주 수입업자
미국으로 들어오는 FBA 배송의 수입업자는 미국 거주 또는 비거주(외국) 사업체 또는 개인일 수 있습니다. 모든 비거주 수입업자는 CBP 양식 5106을 작성하고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의 수입업자 번호를 포함시켜야 합니다.
지난 1년 안에 비거주 수입업자로서 미국으로 수입한 적이 있는 경우: 이미 수입업자 번호를 가지고 있게 됩니다. 아마존 글로벌 로지스틱스 센트럴 이용을 시작할 때 세관 지정 수입업자 번호 필드에 해당 정보를 입력합니다.
아직 미국으로 수입한 적이 없어도 수입업자 번호를 이미 가지고 있는 경우: 아마존 글로벌 로지스틱스 센트럴 이용을 시작할 때 이전에 미국으로 수입한 적이 있습니까?아래에서 예를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세관 지정 수입업자 번호 필드에 수입업자 번호를 입력합니다.
이전에 미국으로 수입한 적이 없고 수입업자 번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아마존 글로벌 로지스틱스 센트럴 이용을 시작할 때 이전에 미국으로 수입한 적이 있습니까? 아래에서 아니요를 선택합니다. 아마존은 셀러님을 대신하여 CBP 양식 5106을 작성하고 미국 세관에 셀러님의 비즈니스를 등록합니다. CAIN(세관 지정 수입업자 번호)이 할당되면 아마존은 이를 셀러님께 전달합니다. 또한 셀러님의 수입업자 번호가 할당되면 아마존은 이를 셀러님께 전달합니다.
셀러 센트럴 도움말에 나와있는 글 입니다.
https://sellercentral.amazon.com/gp/help/external/ASFW4BD897LNTNN?language=ko_KR&ref=efph_ASFW4BD897LNTNN_cont_4R925S74NFMCLXA
해당 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 하십니다.
(0)
답변 감사합니다!
아마존 로지스틱스 센트럴은 한국에서 미국이 아닌 중국과 같은 다른 나라에서 다른나라로 배송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fedex를 통해 한국에서 미국 아마존 창고로 배송을 진행하고 있는데 수입자 측(아마존 창고)에서 5106을 작성해야한다고 하니 당황스러워 문의드립니다.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런 상황이라면 수입자대행 해주는업체를 찾으셔야 합니다.
2,500불 이상을 fedex, DHL등의 특송으로 보내는 경우 목록통관으로 진행 되지 않기 때문에
수입자가 필요합니다. 셀프로 진행을 하시기 위해서는 미국 사업자 등록 등을 발급 받는 등 여러 복잡한 절차가 필요합니다.
이후 배송건 부터는 포워더를 이용해서 아마존 창고에 입고를 진행 하시길르 추천 드립니다.
통관 등 관련하여 대행을 맡길 수 있습니다.
(0)
안녕하세요. 수업을 듣고 현재 FBA 창고에 도착했다고 확인했습니다.(베송조회) 셀러센트럴에서 확인해보니 아직 비활성화 상태이던데, 제가 어떠한 조치를 해야 판매가 활성화 되는건지, 아니면 자동으로 활동화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만약 제가 활성화해야한다면 어떻게 조치해야하는지 알고싶습니다.
조금 더 기다리시면 활성화가 되실 것입니다.
창고에 도착 했다고 해도 실제 판매를 위한 창고 내의 물류 처리 기간이 좀 더 걸리는 것 입니다.
(0)
안녕하세요? 중국에서 물건을 보내고 도착했다는 메세지를 받은지가 열흘정도 지났습니다. 제 상품은 10개의 베리에이션이 있는데 재고관리에 가보니 5개의 베리에이션은 활성 상태이고 나머지는 비활성상태입니다. 상품 갯수도 5개는 전체 보낸 재고수량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나머지는 매일 조금씩 숫자가 올라가는 중인것 같습니다. 상세페이지도 아직 제목이나 내용이 제가 리스팅한데로 되어있지 않는것도 있습니다. 아마존에서 아직 재고 수량파악 중인건지 , 보통 재고 입고가 완료되는데 시간이 어느정도 걸리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야할 일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기다리시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최근 아마존 창고에서 이슈가 생겨서 입고가 더 늦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0)
11월 17일 업데이트 PDF에서 처음에 출고처 주소 입력할 때 전체이름 란에는 무슨 이름을 입력하나요? 전체 주소를 입력하나요 회사명을 입력하나요 아니면 다른건가요?
제품을 보내는 제조업체 회사명을 입력 하시면 됩니다.
제품 개별 사이즈로 계산을 해보았을 때 150개의 수량이 저 크기의 박스에 다 들어갈 수 없다고 판단 하는 것 입니다.
정확한 박스 사이즈를 입력 할 필요가 있습니다.
(0)
FBA 박스 ID 라벨은 어디서 다운받아야하나요?
쉬핑 라벨에 ID가 기재 되어있는데 따로 또 붙여야하는 건가요?
배송 박스에는 쉬핑라벨을 부착 하시면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제품 보낼때 관세 관련하여 마진계산시 적용하려고 하는데 관세 부분은 국가별로 면세 가 되는 제한 금액 과 그 기준이 도매가 기준인지 판매가 기준인지 각 국가별로 조회되는 사이트가 있을까요?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이곳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자세한 것은 네이버 익스퍼트 등을 통해서 관세사에 문의해보셔야 정확합니다.
(0)
안녕하세요.
아마존에 상품을 보내고 싶어서 영상을 보는데,
올리신 영상과 다르게 현재 아마존에 제품을 보내는 페이지랑 달라서 따라하는데 어려워서요.
그리고, 제품 하나 당 FNSKU바코드가 다른걸까요? 아님 한 제품에서 받은 FNSKU를 같은 제품에 다 사용 가능한가요??
제품종류가 다르다면 (ex. 색상, 사이즈) 모두 다른 UPC 바코드 넘버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모두 다른 FNSKU 바코드가 적용 됩니다.
새로 론칭한 ‘아마존으로 발송’ 을 통한 재고 보내는 방법은 영상이 곧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만약 급하신 것이라면 카카오톡 상담으로 문의 주세요.
(0)
안녕하세요 대표님.
재고 발송/보충 진행중에 아래사진과 같은 오류가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이미 강의 시청후 FNSKU 바코드를 선으로 발급받아서 패키지에 인쇄를 마친상태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제조업체 바코드를 아마존 바코드로 변경하라는게 무슨의미인지를 모르겠습니다,
셀러센트럴에 문의해도 도움말에 있는 내용과 동일한 답변만 합니다..
이번주에 FBA 입고준비중이였는데… 생각지도 못한 상황이라서 당황스럽습니다.
카카오톡 상담을 통해서 답변 드렸습니다. 혹시 해결이 안 됐다면 연락주세요!
(0)
안녕하세요 대표님
제가 미국 아마존 Professional plan 이 있고 미국 멕시코 캐나다 marketplace 가 있습니다, 하지만 유럽과 일본 등 다른 나라의 marketplace 추가를 못하고 있습니다.
이것에 대해서 셀러센트럴 에게 연락을 해봐도 도움이 안되네요. 그래서 그런데, 따로 계정을 만들어서 유럽과 일본 등 의 나라들을 marketplace 에 등록하고. 제가 가지고 있는 계정 1 의 A 브랜드를 계정 2 의 marketplace 에서 A브랜드로 판매가 가능할까요?
감사합니다
아마존 셀러 센트럴 계정을 두 개 만들면 정지될 위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후에 브랜드 등록 등에서도 같은 브랜드 제품을 판매 하려 한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고요,
속도가 더디더라도 지금 계정에서 해결을 하고 넘어가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생산한 제품을 직접 미국 fba 창고로 배송하려고 하는데,
shipping label이 정확하게 패키징한 박스를 큰 박스에 담은 후 그 큰박스에 부착하는 라벨이 맞을까요??
그리고 영상 따라하다 보니까
① 아마존 셀러 센트럴 – [재고] – [재고관리]
② 아마존으로 보내고 싶은 제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1개 항목에 대한 조치] – [재고 발송 / 보충]을 선택
클릭하면 라벨 서비스를 신청할건지 거부할건지 화면이 떠서 신청을 눌렀더니, 첨부한 사진같은 화면이 뜹니다. 어떻게 처리해야할까요?
카톡 상담으로 답변 드린 내용 같네요. 혹시 아니시라면 카톡상담으로 문의 주세요
(0)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현재 상품을 아마존으로 보내면 되는데.. 배송에서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많이 생기네요..
제조업체에서 DDP 조건으로 UPS 해상운송하기로 되어있었는데 갑자기 연락이 와서 LA port 엄청 혼잡하고 UPS 배송속도가 너무 느릴꺼 같다고 shipping + truck delivery 로 바꿔야한다고 연락을 받았습니다.. 운송수단이 truck delivery로 변경되었다고 하는데… 초보질문 3개만 드릴께요~
UPS 해상운송인 경우,
중국항구 – LA 항구 – dallas 아마존 물류창고 라고 한다면..
1. 중국항구에서 배로 이동 후, LA 항구 – 달라스 물류창고까지 가는 모든 과정을 UPS해상 운송이라고 하나요?
아니면 LA 항구 – 달라스 물류창고까지 가는것만 UPS 운송이라고 하나요?
-> 왜냐하면.. 제조업체에서 shipping + truck delivery 로 바꾼다는데 그렇다면 shipping 은 UPS 를 이용할껀지 정확히 물어보려구요…
2. UPS 해상운송을 이용한다면, 기본으로 LA 항구에서 달라스 물류창고까지 갈때 트럭으로 배송되는건가요? 아니면 비행기로 배송되나요?
3. 제조업체에서 ups 가 아닌 truck delivery로 바꾼다는데 괜찮을까요? 이름없는 업체를 사용한다는게 좀 꺼려지긴 해서요..
지금 문의들은 제조업체에 직접 하시는게 가장 정확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으십니다.
일단 DDP 방식이라는 것은 배송에 관련된 모든 책임을 제조사에서 지는 것이기 때문에 배송업체를 변경한다고해서 걱정을 하시기 보다는
그렇게 했을 때는 정말 시간 단축이 어떻게 왜 될 수 있는지, 가격은 동일한 것인지 등에 대해 제조업체에게 정확하게 문의를 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0)
제 제품 크키가 2kg 정도인데요, 제가 unit 수량을 입력할때 최대가 16개라고 뜨고 storage limit 이 10cubic feet 으로 나옵니다.
inventory limit 은 1000 입니다. 10cubic feet 이면 엄청 작은거 아닌가요? 제가 현재 individual plan 인데 professional plan 으로 바꿔야 하나요?
플랜과는 상관이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혹시 제품이 부피가 엄청 큰가요? 그게 아니라면 뭔가 잘못 입력이 된 것 같습니다.
잘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품 무게가 2kg 정도이며 부피가 그렇게 크지도 않습니다, 제가 storage limit 이 10cubic 미터 제한이 있었는데. 프로페서녈 으로 바꾸니깐 제한이 무제한으로 바꼈습니다.
(0)
제조업체에서 DHL에서 비행기를 통해 미국 아마존 FBA창고까지 배달을 하려면 e-commerce certificate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어떻게 보내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직접 통관을 하셔야 하는 방식으로 보이는데요 그렇게 진행 하시려면 따로 통관을 위해 사람을 고용해야 할 것입니다.
DDP 방식으로 아마존 창고까지 알아서 보내주는 포워딩 업체를 이용하세요.
(0)
안녕하세요!
두번째 월급강의를 통하여 알리바바를 통해서 제조까지는 순탄히 진행하였으나, 배송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있어서 이렇게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물품은 제조가 완료되어 배송업체로 전달이 되었고, 배송업체에서 지금 미국(아마존 창고)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제조업체에서 C/O(원산지 증명서)를 필요로 하는지 물어보는데, 미국에서 물품을 받는 사람이 제가 아닌 다른 사람이 받기 때문에 받는 사람의 정보가 필요하다고합니다.
제조업체에서는 꼭필요하지 않으면 발급하지 않아도 될거같다고 하는데, C/O가 필수적으로 받아야하는 서류일까요?
없어도 되는 부분일까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 발급 받으셔서 배송업체에 전달해 주세요. 발급 받으신 서류는 잘 보관해 주세요.
(0)
혹시 안받게 되어지면 문제가 될어질 수 있는 부분도 있을까요??
네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O) 아마존 FNSKU바코드와 배송라벨 무광라벨지에 인쇄해도 문제 없나요 ? 국내 유통물류진흥원에서 바코드 인증받을때는 유광라벨지만 허용하더라구요. 잉크젯프린터라서 무광라벨지에만 인쇄가 가능해가지구요 !
바코드가 잘 인식만 되도록 해주시면 됩니다. 번지거나, 훼손이 되지 않게 해주시면 됩니다.
(O) 아마존 셀러센트럴 로그인하면 이런게 뜨는데 그냥 놔둬도 되는건가요?
강의 영상에 안내된 것처럼 보시고 없애시면 됩니다.
강의 2-5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고객님, 두번째 월급입니다.
상품이 올라가기까지 시간이 조금 소요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조금 지난 뒤 다시 확인해봐주시기 바랍니다.
(O) 패키징한 제품 여러개를 하나의 큰 carton 박스에 넣어서 아마존으로 입고시키면 되는 것인가요? 아니면 패키징한 제품을 작은 박스에 넣고 큰 carton 박스에 넣어서 배송해야되나요? (아마존에서 패키징된 제품을 자체적으로 작은 박스에 넣어서 배송해주는건가요?)
고객님의 제품들은 아마존에 보내면, 아마존이 배송을 하기 전에 별도 아마존 박스에 한 번 더 넣어서 보내기 때문에 패키징 완료된 제품만 보내시면 됩니다.
(o)
제조업체가 shipping cost를 계산하기 위해 제품을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물어보는데 여기다가 어떻게 답장해야 하나요…? 샘플 배송 주소와 다르다면 새로운 주소를 말해달라고 하는데 어떤 주소를 말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ㅜㅜ 막 제품 주문하고 비용 지불 직전인 상황입니다!
아마존에 임시 리스팅을 해보시면 어디로 보내라는 창고 주소가 나옵니다. 그 창고 주소를 알려주면 됩니다~!
(O)
감사합니다! 하나만 더 질문 드려도 될까요… 제품 MOQ는 잘 이야기해서 낮췄는데, 대신 패키징 박스랑 인서트 카드는 제품 수보다 훨씬 많이 생산하기로 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남는 패키징 박스, 인서트 카드는 아마존 창고에 계속 보관되다가 추가 주문을 하면 그때 사용되는 건가요 아니면 남은 것들이 저희 집으로 오는 건가요 어떤 방식일까요…?
제조공장에서 보관을 해줄 수 있는지 먼저 요청을 해보세요. 아마 별도의 공간이 있기 때문에 몇 달은 무료보관 그 후부터는 월 얼마 정도의 창고료를 내고 보관을 해주거나 할거라 생각 됩니다.
만약 제조공장에서 보관이 힘들다고 한다면 공장 근처의 창고 회사를 알아봐서 그 곳에 보관을 하는 것이 이후 생산을 할때 배송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에 유리할 것입니다.
(o)
안녕하세요
저희는 중국에서 제품을 생산하지 않고 이탈리아내의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해 직접 패킹하고 바코드 부착해서 아마존으로 보내려고 합니다. (이탈리아에 거주 중입니다)
이 경우 미국에 보낼때 미국 통관이나 관세 문제는 어떻게 처리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중국에서 보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관련 지식이 없어서 직접 처리가 곤란 하시다면 ddp 대행업체를 찾아서 운송료에 그런 대행 비용까지 포함한 금액을 내고 서비스를 이용 하셔야 합니다.
(o)
안녕하세요 🙂 말씀하신 관련 지식이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미국 아마존으로 상품을 보낼때는 미국쪽에서 수입 대행사가 필요하지 않은지도 궁금합니다.
지금 질문 주시는 내용들에 대한 사전 지식을 말씀 드린 것 입니다~! 그 부분은 아마존 셀링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 알기란 쉽지 않죠! 그래서 ddp 방식으로 배송을 추천 드립니다.
ddp는 통관 등 모든 절차를 다 대해 해주기 때문에 수입 대행사가 필요가 없습니다. Ddp가 이미 그런 대행을 해주는 대행사를 찾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조 공장에서 출발하는 것 부터 아마존 창고 까지 입고의 모든 과정을 책임져주는 것 입니다.
제조업체에 ddp 가격을 물어보시고 기타 다른 DDP업체에도 견적문의를 해보신 제조공장이 납득할만한 수준의 가격을 제시를 했다면 제조공장측에 DDP를 요청하시는 것이 가장 좋을것이라 판단됩니다!
(o)
업데이트가 하나도 안되었네요. 아마존 양식이 바뀌면 바뀌는 내용을 오려주신다고 했는데 하나도 안되어있네요.
셀러 센트럴 상단에 하늘색 알림창을 확인해주세요.
[새로운 아마존으로 발송 배송 생성 워크플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아마존으로 발송은 간소화되고 더욱 유연한 배송 생성 프로세스를 통해 FBA 셀러의 시간을 절약하는 새로운 워크플로입니다. 교육 동영상과 실시간 시연 일정이 포함된 아마존으로 발송 페이지에서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아마존에서는 모든 셀러가 새 워크플로를 이용하도록 전환을 준비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능이 곧 공개됩니다. 그동안 이전 워크플로를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는 내용의 알림창이 뜨는데 ‘이전 워크 플로’ 부분을 클릭 하시면 강의에 보여지는 화면으로 진행 하실 수 있습니다.
(o)
안녕하세요.
아마존에서 판매후 불량에 따른 반품된 제품은 어떻게 처리해야 되는건가요?
직접 설저 하실 수 있는데요, 폐기 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다시 재 포장 해서 판매 하는 옵션도 있지만 이럴 때 안 좋은 리뷰가 달릴 수 있고 모아서 받아 볼 수도 있지만 그 비용을 내고 받아 보는 것 보다는 폐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생각 됩니다. 물론 제품 개당 가격이 너무 비싸다면 모아서 받아 보셔야 겠지요.
(o)
안녕하세요 대표님
박스 규격 등록은 상품 규격과 박스 규격을 다시 점검하여 해결했습니다.
그런데 총 입고 예정 기준 500개 상품을 등록하려고 보니 보관 부피 초과 알람이 떠서요.
제가 프로페셔널인가? 비용을 내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서 그런건지요. 10개 상품 1개 박스 기준 5개 박스도 입고를 못 시키는 상황입니다. 흑흑
조언 부탁드립니다.(센트럴 캡쳐 첨부)
오류인 것 같습니다. 아직 창고에 입고가 안 됐다면 0으로 나오는게 맞습니다.
(O) 제조업체에서 주소를 달라고 하길래 라벨에 주소가 적혀있다고 하니까 specific address를 달라면서 이렇게 답장이 왔는데 뭘 원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어떻게 해야 되나요?
상자에 적혀 있다고 말씀하지 마시고, 다시 적어서 채팅 방에 전달해주세요.
배송 예약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아마존에서 재고를 받게 될 관계자 전화번호를 알려달라는데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배송계획 작성을 완료하시면 박스 라벨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박스라벨 인쇄를 클릭 하시면 pdf 파일이 다운받아지는데요 이 PDF 파일을 제조업체에게 전달해 주면 됩니다.
만약 내가 제품 20개씩 들은 박스 10개를 아마존에 보낸다고 하면 박스 라벨 10가 들어있는 PDF 파일이 받아질 것입니다. 각 박스별로 라벨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제조업체에 라벨을 보내실 때 아마존 창고에서 잘 처리가 될 수 있도록 5개의 면에 붙여줄 수 없는지 물어보세요~
네 10/10 으로 입력하세요~
(o)
안녕하세요.
쉽핑플랜을 작성하는 중에 문의드립니다. 강의와 현재 아마존셀러 작성 화면이 좀 달라서 캡쳐 화면 올려드립니다.
입고할 박스규격과 중량 기준이 맞지 않다는 오류가 뜨는데요 관련해서 센트럴도움말로 문의 글 남겼고 하기와 같이 취소/최대 규격 가이드 받았습니다.
최소: 규격이 최소 6 x 4 x 1인치이고 중량이 최소 1lb
최대: 모든 면이 25.00인치 이하 및 총 50.00lb를 초과하지 않음
제가 입고할 박스가 19.5 X 15 X 13.78 /34.5LB
최소와 최대 사이에 규격 기준이 맞는데요. 왜 애러가 뜨는지요? 중국공장에서도 문제 없을거라고 하거든요.
이전 버전의 배송계획 작성 페이지를 한 번 이용 해보시겠어요?
https://sellercentral.amazon.com/gp/fba/inbound-plan-workflow/index.html#create
(o)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기존 화면과 똑같이 보이는데요. 어떻게 설정을 해야 하는지요?
상단에 하늘색 알림창이 뜨지 않으시나요?
새로운 아마존으로 발송 배송 생성 워크플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아마존으로 발송은 간소화되고 더욱 유연한 배송 생성 프로세스를 통해 FBA 셀러의 시간을 절약하는 새로운 워크플로입니다. 교육 동영상과 실시간 시연 일정이 포함된 아마존으로 발송 페이지에서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아마존에서는 모든 셀러가 새 워크플로를 이용하도록 전환을 준비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능이 곧 공개됩니다. 그동안 이전 워크플로를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는 내용의 알림창이 뜨는데 이전 워크 플로 부분을클릭 하시면 됩니다.
(o)
안녕하세요 아마존에 인삼 추출물로 만든 가공식품(액체) 스프레이 제품을 리스팅 했는데 오늘 아마존에서
“Amazon.com에서 농약 및 농약 장치를 판매하려면 미국 거주자여야 하며 eLearning 및 관련 테스트를 완료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살충제 및 살충제 장치 정책을 참조하십시오. ”
이런 공고와 리스팅이 제한됐다고 하네요 상품이 전혀 농약과 무관하며 리스팅 내용에도 농약관련 내용은 전혀 없는데 왜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네, 살충제 관련해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보이는데요! 한 번 셀러 서포트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o)
안녕하세요 아마존에 물품을 보낼때 혹시 패키지가 꼭 영문으로 돼있어야 하나 이미 국문으로 패키지 작업이 다 끝난 제품들이라 문의드립니다.
꼭 영문일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미국 소비자들을 위해서 영문으로 된 라벨 스티커를 붙이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o)리스팅한 제품이 비활성(품절)이라 뜨는데 판매가 이뤄지지 않아도 일단 제품을 아마존에 입고해야 하는건가요??
아마존 창고에 상품을 입고 시키면 제품이 활성 상태가 됩니다.
리스팅만 마친 상태에서는 비활성(품절) 이라고 뜨는 것이 정상입니다.
‘consignee’의 약자입니다. 수탁인, 하물 인수자의 약자로, 발송물을 수령한 사람 또는 회사를 지정합니다.
(o)제조업체에서 해상운송으로 물건을 아마존에 보내준다고 해서 보내달라고 했는데 cnee를 알려달라는데 뭐라고 답을 해야하나요? 아마존 fba창고 주소를 알려주면 되는건가요?
ddp로 진행하는 경우 보통 아마존에서 발급받은 배송 라벨 PDF 파일을 전달을 주면 거기에 발송 보낼 창고 주소가 기입이 되어있기 때문에 따로 아마존 창고 주소를 요구하거나 하지 않을텐데요.
한 번 제조업체에게 확실하게 물어 보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ddp 방식이 맞는지 아마존 창고까지 책임지고 보내주는 것인지 문의를 해보세요.
제품의 부피와 중량, 수에 따라 다르겠지만 가장 최근인 이번 주에 대략 600그람 짜리 40x5x35센티 정도의 제품 500개를 보내는 해상 운송 비용이 200만원 좀 넘게 들었습니다. 참고해 주세요.
두번째 워급 카페에 가보시면 비슷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글들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o)제품의 variation이 3칼라이고 칼라별로 각각 다른 FNSKU를 부착했습니다. 개별상품으로 선택해서 하나의 쉬핑라벨로 발송해도 아무 문제 없는건가요?
대량생산으로인해 많은 박스가 나오셨다면 베레이션 별로 각 각 쉬핑라벨을 만들어서 보내시는게 안전해 보입니다.
하지만 소량의 박스에 나눠서 넣을 수 있는 정도라면 개별상품으로 진행 하셔도 큰 무리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o)안녕하세요. 제가 보내려는 상품이 크기가 3cm정도로 작은 악세사리 종류인데요, 크기가 작다보니 몇백개의 수량을 개별박스포장 및 라벨부착하기가 어렵습니다.
한박스에 100개정도씩 넣어 아마존으로 보내려고 하는데, 아마존에서 주문 들어온 수량만큼 재포장하여 배송 해줄까요?
아니요. 각 상품 개당 포장이 되어야 하고 라벨이 붙어있어야 합니다.
지금 당장 쉬핑플랜을 작성해야 되는데 다음 업데이트 일정이 언제일까요? 도움 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마도 새로 생긴 send to amazon 페이지로 들어가신 것 같은데요. 상단의 하늘색 박스를 보시면
새로운 아마존으로 발송 배송 생성 워크플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아마존으로 발송은 간소화되고 더욱 유연한 배송 생성 프로세스를 통해 FBA 셀러의 시간을 절약하는 새로운 워크플로입니다. 교육 동영상과 실시간 시연 일정이 포함된 아마존으로 발송 페이지에서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아마존에서는 모든 셀러가 새 워크플로를 이용하도록 전환을 준비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능이 곧 공개됩니다. 그동안 이전 워크플로를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는 안내가 나오실텐데요 밑줄쳐진 이전 워크플로 부분을 클릭 하시면 강의에 나온 내용과 같은 화면으로 이용이 가능하십니다.
쉬핑플랜 작성하는 셀러센트럴 페이지가 너무 많이 바껴서 따라하기 어려운 것 같아요! 강의 업데이트 하실 계획은 없으신가요? 없으시다면 신규 업데이트된 참고자료 있으시면 요청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해당 내용 확인 해보고 다음 업데이트 일정 때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민병은 대표님,
아마존 FBA창고 주소는 라벨인쇄할때 알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미리 알수있을까요? 제조업체에 shipping cost견적을 받아보려고 합니다.
쉬핑플랜을 작성 하셔야 정확한 발송 주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o)그리고 제품의 variation이 3칼라인데, 쉬핑라벨을 각각 따로 부착해서 아마존으로 발송해야하는건가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배송계획 작성 시 개별상품 으로 선택 하시면 한 번에 진행 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아마존에 판매예정이고 현재 어린이제품 인증을 받으려고 lab에 의뢰해놓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lab에서 작성하는 폼에 importer의 주소, 이름등을 넣어야합니다. importer는 제가 아닌가요? 그런데 미국에 거주하는 수입자 정보를 넣어야한다네요.ㅜㅜ 누구의 정보를 넣어야할까요?
어린이 제품의 인증 관련해서는 제가 알지 못합니다. 의뢰하신 lab에 자세한 사항을 문의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인보이스 혹은 수출 신고할 때 단가 란에 공장 구매 단가를 써야 하는지, 혹은 아마존 판매가를 써야 하는지, 혹은 아마존 판매가에서 아마존에 지불해야하는 수수료 등을 뺀 금액을 단가로 기입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아마존 고객이 실제 결제할 금액으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무역에 관련 하여서는 전문성이 없기 때문에 자세한 통관, 수출 등의 문의는 관세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미국 통관하려면 IOR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 부분은 어떻게 처리해야 되나요?
제조업체와 DDP 배송으로 계약을 하신다면,혹은 알리바바를 통해 DDP업체에 배송을 맡기신다면 관세와 관련하여 따로 신경 쓰실 일은 없으십니다.
ior은 수입자를 지정하는 부분인데 ddp로 배송하면 수입자를 지정하지 않아도 중국 공장에서 알아서 보낸다는 말씀이신가요?
네, ddp는 공장을 떠나 아마존 창고에 도착하기 까지 모든 책임을 제조업체에서 지는 방식입니다. 제조업체에서 계약한 포워딩 업체가 수출신고 통관 등 모든 일을 대신 해주는 것 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 댓글 확인을 하였는데도 제가 이해를 못하는건지 해서 문의글 남깁니다
1.우선 아마존 200개 수량은 상품 (개별 패키징) 기준인가요? 아니면 (케이스/카튼) 기준인가요?
— 또한 200개 기준은 한 창고or 지역 당 인가요? 아니면 셀러당 기준인가요?
2.예를들어 배송지가 서부,중부,동부로 찢어져 가도 초반셀러때는 도합 200개가 전부인가요?
3.만약 찢어 보내지 않고 서부 쪽에만 제품을 보낸다고 하면 200개 모두 서부쪽에만 머물러 있고 배송도 서부쪽 위주로만 이루어 지는건가요?
(아마존창고에 상품 도착하면 아마존에서 알아서 여러 창고로 분산하여 보낸다고 알고 있엇는데 아닌가요? // 도착후 아마존에서 여러창고로 분산한다고 해도 서부 지역쪽에서만 해당되는건가요? )
답변 부탁 드리겠습니다 ㅠㅠ
1. 네 상품 개별 패키지 기준 200개 입니다.
2. 기존에는 200개가 전부였습니다만 최근 아마존의 규정이 조금 변경 되어서 셀러별로 보낼 수 있는 수량이 좀 달라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처음 제품을 보내는 셀러에게도 적용이 되는지는 아직 확인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것은 아마존 셀러 서포트에 문의를 해보시는 방법과 보내시려는 제품으로 실제로 배송계획을 작성 해보시면 아마존에 보낼 수 있는 수량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3. 셀러센트럴 – 설정 – Fulfillment By Amazon(아마존 주문처리 서비스) – 인바운드 설정을 편지하셔서 -재고 배치 옵션에서 재고배치 서비스를 선택하시면 아마존이 한 곳의 창고로 받은 뒤 각 각의 창고로 분산시킵니다. (수수료가 적용됨.)
200개라고 가정하면
서부 중부 동부 나눠서 안보내고
서부쪽으로 한번에 보낸다음 해당옵션 선택하면
전지역으로 분산되고 , 분산 원치않으면
한지역 창고에만 200개가 있게된다는 말씀이신거죠??
아니요 무조건 분산은 되게 되어있습니다.
한 곳으로 보내서 아마존이 분산을 하도록 하느냐
내가 처음부터 분산을 해서 보내느냐의 차이 입니다.
어느정도의 cbm, kg인 경우에 ltl을 사용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중국에서 보낼 물량이 4cbm, 680kg 인데 spd와 ltl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할까요. 관련정보가 부족해서 질문남겨요.
관련하여 자세히 나와있는 글을 첨부 드립니다. 만약 카페 들이어서 안 보인다면 한 번 가입 하셔서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cafe.naver.com/faemkiss/1418?art=ZXh0ZXJuYWwtc2VydmljZS1uYXZlci1zZWFyY2gtY2FmZS1wcg==.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jYWZlVHlwZSI6IkNBRkVfVVJMIiwiY2FmZVVybCI6ImZhZW1raXNzIiwiYXJ0aWNsZUlkIjoxNDE4LCJpc3N1ZWRBdCI6MTYyMjQzMDc0MTI0Mn0=.QBSOdHVL669XVZQe7v3W5AfQUkqbexzsKMq-Dc3f7zM=
셀러계정에서 미국 내 반품주소를 넣으라고 하는데, 반품서비스 업체를 이용하는게 좋을까요. advice 부탁드립니다.
fba를 이용하시려는 거라면 반품주소를 입력 안 하셔도 됩니다. 반품은 아마존 창고로 가니까요. 만약 FBM 방식의 판매도 병행을 하려 하신다면 미국내에서 물류를 담당해줄 외주 업체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두번째 월급입니다 🙂
셀러 센트럴에 https://sellercentral.amazon.com/gp/help/G201269180 해당 내용 보시면 아마존 규정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소량을 제조사 통해 DHL express로 보내려고합니다. 헌데 제조사에서 DHL로 보내려면 수취인 이름과 전화번호가 필요하다는데 이럴 경우 이 정보를 어떻게 줘야 할까요?
강의에 내용에 나와 있는 것처럼 shipping label 을 작성하시면 주소 확인 가능하십니다. 먼저 shipping label을 작성해보세요.
한국에서 물건을 미국으로 보내려고 하는데, 혹시 추천하시는 freight forwarder가 있으실까요? 물론 처음 보낼수량은 많지 않을것 같습니다.
https://services.amazon.co.kr/service-providers.html
링크를 클릭하시면 아마존 코리아의 spn 업체들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 쉽핑플렌을 짜는 중인데 maximum inventory level이 1000개로 나와요.. 200개 제한이 풀린건가요 아니면 어디서 리밋확인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아마존 물류센터 위치를 알기위해 쉽핑플렌을 짜는중 저장만 해두고 아직 컨펌은 안했거든요.. 한달뒤에나 보낼수 있는데 저장만 해두고 이 상태로 놔두어도 괜찮은건가요?
최근 셀러별 인벤토리가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했는데 아마 그 영향으로 수량이 조정이 됐을 수 있습니다. 따로 제한이 없다면 1000개로 생각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1달 뒤에는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그 때 다시 쉬핑플랜을 작성 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네.. 다시 작성해보니 200개로 나오네요. 감사합니다.
1인당 재고 보관량이 1000개인가요?
아닙니다. 재고 보관량은 셀러별로 모두 상이합니다.
아마존에서는 아래와 같이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https://kr-marketing.s3.ap-northeast-2.amazonaws.com/SSQL+Pitch+Deck_KO.pdf
안녕하세요. 개별상품과 케이스포장상품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개별상품 – multiple SKU (A+B+…)
케이스상품 – single SKU (A)
한 박스에 들어간 제품의 종류에 따른 분류입니다.
영상 마지막에 민대표님께서 큰 용량을 해상을 보낼때는 아마존이 제공하는 SPN을 사용하라고 했는데 이 것관련해서 더 알 수 있을까요? 저도 첫 제품 준비중인데 워낙 부피가 있어 해상으로 보내거든요, 감사합니다
https://services.amazon.co.kr/service-providers.html
해당 페이지에서 아마존 코리아와 협약을 맺고 있는 SPN 목록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중국에서 미국으로 배송을 보낼 때 이용할 수 있는 SPN 업체가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해상운송을 이용하실 때에도 마찬가지로 제조업체쪽에 한 번 DDP 비용을 문의 해보시고 알리바바에서 해상 운송업체를 컨택 해서 비용을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조업체 측에서 보유하고 있는 운송 수단 비용이 가장 저렴 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품을 제작해서 미국 FBA로 보내려하니 아마존셀러페이지에서 갯수를 임의로 정해서 저에게 세군데로 쪼개서 보내라고 하네요.
한군데로 모두 보낼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세군데로 보내게 되니 배송비가 예상가격을 넘어버렸습니다.
이럴경우에는 미국에 배송대행지?를 이용하는게 더 나을까요?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도움이 될만한 블로그 글 첨부 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minble2/222204059177
감사합니다!
판매할 제품을 로고를 붙여서 웨어하우스까지 보내서 입고 완료 시켰습니다.
그런데, 계정 생성되고 너무 오래 지나서 그런지 휴면 계정으로 변경이 되어서 SIV를 진행하는데
1달이 다 되어가도록 SIV 부서에서 답변이 없습니다..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재고처리가 된다는 연락만 오고 답답해서 미치겠네요..
셀러 서포트에 한글로 한 번 문의 해보셨을까요? 해당 부분은 판매를 시작 하실 수 있는 상황에서 판매가 막혀있는 부분이어서 아마존 코리아 측에 한 번 빠르게 해결을 부탁 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한 번 계정 관련 말고 상품 판매 관련으로 한글로 셀러 서포트에 케이스 인입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무게 때문에 해상으로 배송을 보내는데 배송 라벨 부분에서 말하는 박스당 수량 구성이 팔레트를 이야기 하는것 인가요? 상품의 패키지를 말하는건가요? 제가 6개 세트상품을 제작을 보내려고 하는데 처음엔 상품 패키지를 뜻하는줄 알았는데 아닌것 같아서요.
카톤 입니다. 제품의 패키지박스가 들어가는 큰 종이박스를 의미합니다. 예를들면 아이폰을 보낸다고 가정하면 고객이 받을 아이폰 박스 한 개가 여러개 들어가 있는 더 큰 박스요. 그게 카톤 입니다. 그 카톤들이 모여서 팔렛트가 되는 것 입니다
혹시 제품 상세페이지는 초안으로 저장해두고 제품시핑을 아마존FBA창고로 먼저 보낼수 있나요? 제품은 생산은 거의 완료됐고, 해상운송을 해서 배송되는데 시간이 좀 걸릴 예정이여서요?
네, 그렇게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셀러 등록하고 아이템 등록 하려고 하는데요! return 주소를 업데이트 하라는 알람이 떴는데 보통 이런경우 미국내 주소를 배대지 같은곳을 찾아서 넣어야하나요?
fba로 판매를 하시는분들은 따로 입력 안 하셔도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FBM 방식으로 판매를 진행 하신다면 미국 배대지와 계약을 한 뒤 그 쪽 주소를 입력 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BA 이용하고 있는데, 미국 밖에서 주문이 들어오면 어떻게 하나요?
배송비는 어떻게 되는 것이며, 배송처리는 누가 처리해주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아 그리고 이런 설정을 어디서 하는지도요!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ㅠ
우리가 해외직구를 할 때 별도의 배송비를 내고 관세를 소비자가 알아서 부담 하듯 구매자가 아마존이 제공하는 배송 옵션을 선택해서 구매하게 됩니다. 그 외의 것은 아마존이 처리합니다.
제조공장에서 연락이 와서 아마존 Carton규정이 변경되서 기존에 보내려고 했던 Carton(10pcs/ctn)이 너무 큰 관계로 (8 or 6pcs/ctn)으로 변경 해야 한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그런데, 재고 보충을 할 때, 이미 케이스별 단품을 10으로 하고, 케이스 수량을 설정 해놓은 상태라 수정이 안됩니다.
이 경우에 어떻게 수정을 할 수 있는건가요??
이건 보내려고 설정한 shipment을 삭제하고 세로운 shipment을 다시 설정해서 보내야합니다. 하지만 carton 규정을 아마존 셀러 서포트에 연락해서 혹은 아마존 셀러 선트럴에서 검색하여 한번 더 확인해보세요.
아마존 FBA창고 주소는 어떻게 알수 있나요? 셀러 센트럴로 문의를 해야 하는건가요?
임시리스팅을 작성 하시면 배송 보내실 창고가 지정됩니다.
안녕하세요. Express(Fedex, UPS)로 아마존 창고로 발송할경우에, 관련 Customs 이나 Taxs는 운송업체에서 알아서 처리해주는건가요? 아니면 직접 Customs broaker를 고용해야하나요?
그쪽에서 다 해준다고 합니다~!
오늘 하려고 보니 재고발송에서 박스 크기/무게 기입하는 칸이 사라졌는데, 어떻게 된걸까요?
해당 부분은 아마존 셀러 서포트를 통해서 문의를 해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지금 전달주신 사항만 보고는 저희가 어떤 상황인지 파악이 힘든 점 양해 부탁드려요.
패키지규격을 잘못넣으면 어떻게 수정하는지 알수있을까요??
저 헷갈려서 바코드 UPC만 붙이고 아마존 FBA로 배송되고 있습니다ㅠ 이거 어떻게 해야 되나요 ㅠㅠ
아마존의 fnsku 바코드 붙여주는 서비스를 이용 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지금 상태에서도 신청이 가능 할지는 모르겠네요 아마존 셀러 서포트에 빠륵게 문의 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출고지 주소를 공장으로 넣으면 된다고 하셨는데요, 제품생산을 한국 공장에서 해서 직접 물건을 받아서 라벨작업을 수작업으로 한 다음 직접 발송을 하려고 한다면, 출고지 주소를 사무실 주소를 적어야 하나요?
네 아마존 창고에 들어가기 직전의 출고지 주소를 입력하시면 되겠습니다!
제품출고준비가 이미 다 되었고 제품리스팅 작업까지 별문제 없었는데, 200개 제한이 있는줄 몰랐네요.. 제품을 만들때 최소주문 500개여서 주문했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ㅠㅠ
6:58 ‘제조업체의 원래 포장에 있는 상품 규격’이란게 팔고자 하는 제품 하나당을 말하는건가요?? 아님 보내는 큰 박스 크기를 말하는건가요??
개별 상품, 제품 하나 당의 포장 규격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아마존 창고 주소를 아는 방법은 없나요?
해당 라벨만 출력해서 제조업체에게 전달하면 아마존 창고까지 배송 되는부분인가요??
강의 09:00 부분을 보시면, 배송 라벨을 인쇄하셔서 제조업체에게 전달 하시면 됩니다 🙂
어느 창고로 보내질 지는 배송라벨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십니다.
제조업체에서 CIF비용을 알려주기 위해 정확한 배송 창고주소를 알려달라고 하는데..
주소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고객님, 두번째 월급입니다 🙂
아마존 리스팅 작업 진행 단계에서 주소가 뜨실 텐데요!
해당 단계까지 한 번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재고발송 진행 중인데, 배송방법을 SPD, LTL 중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제조업체에서도 이 내용은 잘 모르는 것 같아요)
Carton 사이즈는 72.5*53.5*46.5cm 라서 inch로 변환하면 한 변이 25 inch가 넘는 부분이 있는데 이러면 LTL을 선택해야 하는 건가요? (전체 Carton은 16개 입니다.) 아니면 Carton 사이즈를 줄이고 Carton 개수를 늘리는 게 나을까요…? 모르는 게 많아서 ㅠ 어수선한 질문이 된 점 죄송합니다.
네 carton size를 줄이는게 좋을거 같아요, 그리고 ltl은 제고를 많이 주문하여 팔렛트로 (트럭/항공화물/해상화물) 운송하면 써야하는거구요 팔렛없이 소량만보네면 spd로 보내시면 됩니다.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
아마존 입고 시에 최소 수량은 어떻게 되어요?
공장하고 잘 이야기해서 아마존에 보내는 최소 수량까지만도 생산을 해주시겠다고 해주셔서요ㅠㅠ
네~상품 사이즈별로 다른데 보통 처음 진입하는 셀러는 200개 수량 제한이 있습니다~!
정확한 수량 확인을 위해 리스팅 초안을 먼저 진행 해보시고 쉬핑플랜을 작성 해보시면 졿을 것 같아요~!
견적을 FOB 가격으로 받았는데 이건 Sea Freight로 할 경우에만 해당되지 않나요?
FOB (물건을 생산후 수출항구 안까지 배송하는 비용(EXW + 항구까지 배송료 + 수출관세)을 포함한 가격으로 이해햐고 있습니다.) 이 경우, 미국까지 또 가져올려면 항구 안에서 물건을 인도할 freight fowarder를 또 고용해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DHL, UPC 또는 항공배송으로 할 경우 견적을 FOB가격대신 EXW로 받아야 하는건가요?
제조공장에 DHL, UPC 또는 항공배송을 할꺼라고 얘기하고 EXW 견적을 달라고 해야할지 의문이네요
^^ 답변부탁드려요. 힘드네요 ㅜㅠ
네 위의 경우는 exworks 견젹이 맞습니다!
세 개의 상품을 각각 아마존 바코드를 받았고 쉬핑 라벨을 받기 위해서 세개의 제품을 한 박스에 18개씩 각2박스 기재해서 총 6박스 입니다. 세 개의 제품은 동일한 상품으로 컬러가 다른 상품입니다. 이때 쉬핑 라벨레서 구분이 되지 않는데 이건 어떻게 구분해서 박스에 붙여야 하나요?
칼러가 다른 상품들을 한 ASIN아래 등록하시면 안됩니다. 색갈 별로 asin과 리스팅을 만드시고 각 색을 위해 쉬핑라벨을 따로 만드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대표님.
지금 제품을 아마존으로 보내는 단계에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현재 1카톤 사이즈는 43x43x63 입니다. (큰 박스 안에 10개의 제품이 들어있습니다)
30카톤이 제조업체에서 준비가 완료되었으며 발송을 하려니 용량초과라는 오류가 나오며 수량을 등록하지 못합니다.
아마존 셀러 센트럴에서는 제가 아직 초기라서 2카톤밖에 못보내고 그 뒤 볼륨을 키워 28카톤을 마무리 지어야한다고합니다.
제조업체에서는 연말이 다가와 보관을 해줄 수 없다고 하고 있습니다.
28카톤을 제 사무실로 받고 다시 아마존으로 보내기에는 운송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갑니다.
30카톤을 한번에 보낼 방법이 없을까요?
https://sellercentral.amazon.com/gp/help/200280260?language=en_US&ref=ag_200280260_cont_200978400&ref_=xx_swlang_head_^&mons_sel_locale=ko_KR&languageSwitched=1
위에 보이시는 아마존 링크에 의하면 보낼 수 있는 카톤 수 가 200~500이라고합니다. 지금 아마존이 말 하는 거는 카톤(carton box)이 아닌 pallet인것 같은데요… 제품 사이즈가 너무 커져서 이렇습니다. 한 카톤 사이즈가 파렛 규격 보다 크기 힘든데… (아마존 파렛 규격 40×48) 그래서 제가 부피가 작은 물건 부터 시작하라고 말씀드린거에요. 이정도 부피면 비행기로 보내시는 것도 너무 비싸요. 이것은 방법이…. 휴 일단 https://sellercentral.amazon.com/gp/help/200141510?language=en_US&ref=ag_200141510_cont_200280260&ref_=xx_swlang_head_^&mons_sel_locale=ko_KR&languageSwitched=1 참고하시고 카톤 사이즈 부터 줄이셔야할 것 같아요. 카톤 사이즈 줄이시고 다시 아마존에서 shipping label을 만들어보세요. 그래도 아마존이 안된다고 하면 죄송하지만 제품을 새로운 것을 선정하셔야할 것 같습니다. 제품이 너무 커요.
대표님 안녕하세요, 케이스 개수 200으로 수량을 맞추었습니다.
자꾸 크기 초과 재고라고 보관한도 미만이여야 한다는데 무슨소리인지 도무지 모르겠습니다ㅠㅠ
이부분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상품의 사이즈가 혹시 너무 큰 것 아닐까요?
그게 아니라면 사이즈의 단위를 혹시 잘못 설정 하신 것은 아니신지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대표님.
수량에 제한이 있어 200개가 제한걸렸습니다.
그럼 나머지는 창고에서 대기시켜야할까요?
보낼 수 있는 수량 제한이 걸린 경우 제조업체에 보관을 부탁하거나 혹은 미국의 3PL 업체로 보내서 보관을 맡기는 방법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병은 대표님, 두번째수업 관계자분들 좋은 강의 준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중국 제조업체에서 200개 정도 되는 물건을 제 한국 사무실로 물건을 받아서 전부 검수하고,
여기서 패킹작업과 라벨작업을 전부 준비해서 미국 아마존 창고로 보내고싶은데, 그렇게 하는 경우도 있나요?
안하시는 이유는 배송비가 이중으로 들어서 그런건가요? 🙂
네 보통 배송비가 비싸기 때문에 그렇게 하면 마진이 줄기 때문에 하지 않습니다. 중국의 제조업체를 이용하는 이유는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인데 만약 그렇게 해서 배송 비용이 더 들거라면 한국에서 제조했을 때의 단가와 비교해서 더 저렴한 쪽으로 하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마진을 고려해서 진행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도 칼라가 여러개이고 사이즈가 2개(더 여러개인데 줄임)인 제품을 판매하려는데 초보셀러가 하기에는 고생이될까요? 그런데 제품 특성상 그럴수 밖에 없습니다.리스팅 할때도 복잡하고 배송할때도 많이 복잡할까요?
MOQ도 크고 그만큼 초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어서 초보자 분들께는 베레이션이 많은 상품을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베레이션이 필요하다면 리스팅이나 배송에서 살짝 더 복잡한 부분이 있더라도 진행 하시는게 맞다고 봅니다. 충분히 하실 수 있을거라 생각 됩니다. 리스팅이나 배송 보내기가 까다로워서 추천을 안 드리는 것은 아닙니다.
혹시 첫 상품 입고할때 개수가 200개 제한이 있다고 하는데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고객님, 두번째 월급입니다 🙂
첫 상품 입고 시 따로 제한이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현재 코로나 19로 인해 수량 제한이 걸려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존으로 보내고 싶은 제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1개 항목에 대한 조치] – [재고 발송 / 보충]을 선택
에서요, 제 물품은 하나의 parent SKU 아래 (색상variation) 5개의 child SKU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5개를 선택하고 “재고 발송” 하며 진행하면 될까요? 아니면 대표 parent SKU를 써야하는걸까요..?ㅠㅠ제품마다 다르니까 child SKU로 해야할것 같은데.. 헷갈리네요
child sku로 해야합니다. 판매 전 부터 color variation을 만든다는것은… 음 조금 걱정 되네요.
판매 전에 color variation 이 없다면 색상이 다른 경우 물건을 팔 수없지 않나요..?
위 댓글은 민병은 대표님이 직접 작성하신 댓글인데 첫 판매부터 여러 색상으로 판매를 시작한다고 하시니 고생할까 우려 된다고 말씀 주신 것 같습니다.
제조업체에서 amazon warehouse address를 주문시에 같이 달라고 하는데 말씀하신대로 shipping label 프린트 하는 과정에서 알 수 있는 부분인가요?
네 맞습니다. 영상 8분 정도에 보시면 배송지가 뜨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 같은 초보 셀러가 처음 아마존 FBA 센터로 입고 시킬시에 필요한 관세 서류 같은 강의도 보충해주세요. 보내기에서 막혔습니다 ㅎㅎㅎ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동의합니다!
⑫ 배송 라벨을 저장해서 페이지에 명시되어 있는 박스 라벨 부착 지침대로 상자에 부착해달라고 제조업체에 전달
-> 라벨을 carton 마다 부착하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이번 배송에 3개의 carton이 배송될 예정, 3개 모두 동일한 라벨 붙이기)
carton 마다 부착하는게 맞는데, carton이 3개면 아마존이 라벨을 3게 줄꺼에요.. (1/3) (2/3) (3/3) 이룬식으로 나눠서 라벨이 나올꺼에요. 같은 라밸을 3변 출력해서 붙이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마지막으로 상품 FBA로 보내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려요.
LTL 배송을 할 예정인데. FNSKU 바코트 라벨, BOX 라벨 , 팔렛트 라벨 이렇게 세 개가 있습니다.
상품 하나당 큰 상자 하나에 넣어서 보내는데. FNSKU 바코드 라벨은 박스에 붙이고, 팔렛트 라벨은 팔렛트에 붙이는 걸로 이해했는데. 그러면 BOX 라벨은 어디에 어디에 붙여야 하나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보통 개별상품에 FNSKU바코드를 부착하고 그 제품들을 예를 들면 40개 혹은 60개 들이로 한 BOX에 넣어서 그 BOX를 모아 팔렛트를 만들게 됩니다. 생수 500ml 를 예로 들어보면 1페트당 FNSKU 바코드, 보통 쿠팡등 에서 500ml를 20개 들이 혹은 30개들이로 묶어서 파는데 그 30개 들이 묶음이 box의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궁금한것이 있어서 하나만 질문 드려요. 사진에서와 같이 빈칸에 적은 숫자가 무엇을 말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저는 LTL로 배송해서 팔레트 갯수가 하나만 필요한데.
그럼 빈칸에 1만 적으면 되는건가요? 4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네요.ㅠㅠ
팔레트 4개의 면에 라벨을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x4로 표기되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shipping plan 작성하는 과정에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려요.
1.물건이 크긴 한데, 여러 FA 창고로 잡히면 배송료가 비싸서, 가장 저렴한 {WEST COAST}로 한군데로 몰고 싶은데 가능한가요??
2. FBA 신청하는 과정에서 사진처럼 저렇게 뜨는데 상관없을까요? 어차피 LTL로 보내는겁니다
shipping plan 작성후 총 10개의 carton에 대해 총 세 곳의 아마존 창고 주소를 받았습니다. 한 곳으로 보내려면, 두 곳의 주소를 무시하고 한 곳의 주소로만 보내라는 말씀이신지요?
이전에는 한 곳으로 몰아서 보내는게 가능했는데 이제는 모든 방법이 막혀서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추가 수수료를 내고 한 곳으로 보내는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제품 개당 수수료가 붙기 때문에 배송비를 아끼기 위한 목적과는 맞지 않는다고 하네요.
Case-packed 옵션으로 해보면 한 곳으로 묶일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정확한 안내를 위해서는 아마존 셀러 서포트에 문의를 해 보시길 바랍니다.
아래 네이쳐리님과 비슷한 질문입니다. 제 제품은 총 4개, 혹은 6개 묶음 -> 패키징하여 판매할 예정인데 상품 리스팅을 할 때, 묶음 상품당 1개라고 적어야하나요? (예시, 총 200개의 제품이 있으나 4개 묶음으로 묶어 총 50개 포장된 상품이 있음 -> 이 때 200으로 적나요 50으로 적나요?)
관련하여 아마존 셀러 센트럴의 도움말 항목 링크 전달드립니다!
링크(클릭)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그러면 미국에 여러개의 FBA 센터가 있는데, 어느 FBA센터로 가는지는 저희가 선택할 수 있는 건가요? 아니면 자동으로 선택되는 건가요? 제조사와 이야기할때 배송비를 미리 계산해 보고 싶은데, 물건 도착지를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니 배송비 견적을 받아볼 수가 없어서요.
이전에는 한 곳으로 몰아서 보내는게 가능했는데 이제는 모든 방법이 막혀서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리스팅 작성을 완료하고 쉬핑플랜을 작성해야지 어떤 창고로 보내야 하는지 표시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의사항이있습니다. 혹시 상품을 보내고 판매가 시작되서 혹시 상품구매자가 반품을 하거나 환불을 요청하면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랑 반품된 상품은 어떻게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해당 내용은 FBA 고객 반품 정책
에서 확인 가능 하십니다!
안녕하세요. 상품 리스팅 할때 수량을 적어야하는데 3개 1묶음으로 판매할 경우. 수량을 어떻게 적어야 하나요?
1묶음이 1개가 되는건가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좀 더 자세한 판매 예정 방식을 적어주시면 조금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미 세 개씩 묶어서 포장이 되어 있는 걸까요? 아니면 각 각의 색상이 따로 따로 있는데 구매자가 세 개 선택해서
세 개씩만 구매 할 수 있도록 하는 걸 원하시는 걸까요?
한 색상으로 Large,Medium 사이즈로 3개씩 묶어서ㅓ 포장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통관때 발생할수있는 세금에 관련된 강의는 없나요?
FBA에 제품을 보낼 때, 통관 관련해서 대행할 수 있는 미국업체가 있어야 하나요? 아니면 그냥 직접 아마존 FBA물품을 보내는 것이 더 나을까요? 참고로 저는 식품입니다.
안녕하세요 짝수님, 두번째 월급입니다. 🙂
강의를 보시면, 아마존 FBA에 물건을 보내실 때 참고하실 수 있는 업체들이 나와 있습니다.
강의 내용을 다시 봐주시기 바랍니다.
06:58 패키지 규격은 카튼 규격 입력 인가요 아니면 개별 상품별 규격을 입력해야되나요?
네, 에이치앰글로벌님, 개별 상품별 규격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
매번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한국에 있는 공장에서 아마존으로 보낼때 혹시 제조업체에서 경험이 없어서 어떻게 하는지 모를시에는 제가 다 처리를 해야하는데 제조업체 정보만 넣고 제가 따로 보내도 상관이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룰루랄라님, 두번째 월급입니다. 🙂
발송 주소만 기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 없습니다. 🙂
shipping label과 아마존FBA에 보내는것은 아무래도 코로나 때문에 불가능한상황인것을 인지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수강료를 결제하고선 수강을 계속하고 있으니깐, 7-9 강은 그때까지 계속 유효한것이 맞겠지요?^^ 아무쪼록 이런상황이 빨리 종결되어서 아마존에 보내는방법을 알수있게되길 기다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성이아빠님, 두번째 월급입니다! 🙂
해당 강의 업로드 되었으니 수강해주시면 됩니다!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22일이 지난 것 같은데.. 강의가 언제 올라올 예정인지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Claire님, 두번째 월급입니다. 🙂
저희도 지속적으로 아마존에서 공지하는 내용들을 살펴보고 있지만,
아직까지 아마존 셀러 센트럴에서 해당 부분에 대한 제한을 풀고 있지 않아서 확실히 며칠이다! 라고 말씀 드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저희도 빨리 데모 강의를 촬영해서 보여드리고 싶은데, 현재 코로나19로 그럴 수 없는 상황이라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Claire님, 두번째 월급입니다! ?
해당 강의 업로드 되었으니 수강해주시면 됩니다!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